국제 경제·마켓

[브리핑+백브리핑]구글, 아마존과 결별 수순…유튜브 서비스 제공 중단

구글이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에 유튜브 제공을 중단하기로 하면서 양사가 끝내 결별 수순을 밟게 됐다.

블룸버그통신은 구글이 5일(현지시간) 아마존의 인공지능(AI) 스피커 ‘에코쇼’에 자사 동영상 서비스인 유튜브 제공을 중단했다고 밝혔다고 이날 보도했다. 구글은 또 내년 1월부터 아마존의 스트리밍(인터넷 기반 콘텐츠 제공) 서비스인 ‘파이어TV’에서도 유튜브 영상을 빼기로 했다. 최근 자사 플랫폼에서 상대기업 상품을 제외하는 등 양사 관계가 극도로 악화된 상황에서 구글이 쐐기를 박은 것이다.


구글은 앞서 지난 9월 돌연 에코쇼에서 유튜브 애플리케이션을 차단하며 갈등을 예고한 바 있다. 당시 아마존은 유튜브 웹사이트로 연결되는 별도 앱을 깔아 이용자들이 우회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했지만 이번에는 구글이 웹사이트 접속까지 막으면서 아마존 기기 이용자들은 유튜브 접속 자체가 불가능해졌다. 아마존은 “모두에게 개방된 웹사이트를 선별적으로 차단해 실망스러운 선례를 남겼다”며 구글을 비판했다.



■어제의 동지서 오늘의 적으로 왜

아마존 신사업, 구글과 겹쳐져

라이벌 구도 형성…협력 무의미


구글과 아마존의 관계가 급속도로 악화한 것은 사업 분야가 상당 부분 겹치는 양사 간에 강력한 라이벌 구도가 형성됐기 때문이다. 외신들은 최근 정보기술(IT) 시장에서 아마존이 두각을 나타내자 구글이 이를 견제하기 위해 유튜브 제공 차단이라는 강수를 뒀다고 평가하고 있다.

관련기사



초창기 구글과 아마존의 사업 분야는 각각 검색과 온라인유통으로 서로 달랐지만 최근에는 AI스피커·스트리밍·클라우드(대용량 데이터 저장서버) 등 신사업마다 부딪치고 있다. 아마존이 2014년 업계 최초로 AI스피커 ‘에코’를 내놓자 2년 뒤 구글이 경쟁제품 ‘구글홈’을 선보였으며 2014년 5월 구글의 ‘크롬캐스트’가 출시된 지 5개월 만에 아마존이 ‘파이어TV’를 내놓아 스트리밍서비스 기기에서도 맞붙었다.

아마존의 견제도 구글 못지않다. 아마존은 2015년 자사 온라인몰에서 크롬캐스트를 제외했으며 지난달에는 구글의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인 네스트 판매까지 중단시켰다.

구글은 이날 성명을 통해 아마존 온라인몰에서 자사 상품 판매가 중단된 점을 지적하며 “아마존이 상호신뢰 관계를 깨뜨려 이번 조치가 내려졌다”고 강조했다.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