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는 2024년에 도심에서 출퇴근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드론을 개발하기로 했다. 또 자율차와 드론 겸용을 비롯해 무인선박·잠수정 겸용 무인이동체도 등장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7일 국토교통부·산업통산자원부 등 5개 부처와 협의한 ‘무인이동체 기술혁신과 성장 10개년 로드맵’을 발표했다. 정부는 앞으로 10년간 5,500억원을 무인이동체 연구개발(R&D)에 투입해 기술경쟁력을 현재 세계 7위에서 3위로 끌어올리고 일자리 9만2,000개를 만들기로 했다.
현재 국내 무인이동체는 대부분 영세 중소·벤처기업이 하고 있고 원천기술력이 세계 최고수준 대비 60%에 불과하며 고부가가치 핵심부품은 수입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무인이동체 세계시장 규모가 지난해 326억 달러에서 2030년 2,742억 달러로 급증할 전망이나 자칫 구경꾼 역할에 머무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면서 정부로서는 10개년 로드맵을 통해 주도권을 잡겠다는 포석이다.
박근혜정부 시절에도 ‘무인이동체 기술개발 및 산업성장 전략’(2015년 5월), ‘무인이동체 발전 5개년 계획’(2016년 6월)이 나온 바 있다. 하지만 이번에는 6대 공통핵심기능기술 개발 로드맵과 5대 용도별 플랫폼 개발 로드맵이 나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6대 핵심기술을 보면 ‘탐지·인식’은 정밀 항법·항행기술 등을 개발하고 탐지·회피 센서 등을 발전시키고, ‘통신’은 광통신 개발과 보안성 확충 등에 나선다. 또 ‘자율지능’은 무인이동체 상황인식 기술 개발과 장기적인 이동체 간 협력 기술을 개발하는 내용이 골자다. ‘동력원·이동’은 배터리(리튬-금속, 리튬-황, 전고체 이차전지)·엔진·연료전지·태양전지 등을 개발하고, ‘인간-이동체 인터페이스’는 AR·VR 기반의 원격 운용 체계와 음성·제스처 등 조종 방식 개발, 장기적으로 뇌파·시선 조종 알고리즘 개발에 나선다. ‘시스템 통합’은 무인이동체에 자율지능 등을 적용·검증할 수 있는 개발체계 연구와 무인이동체 공통 SW 아키텍처를 개발하는 것이다.
5대 용도별 플랫폼의 경우 ‘극한환경형’은 장기운용 수중 무인이동체(개발목표 2027년), 지하공간 탐색 육상 무인이동체(2027년), 생체모방형 무인항공기(2029년), ‘근린생활형’으로는 배송용 드론(2023년), 통근용 개인드론(2024년), 연안운항 무인수상정(2024년)이다.
‘전문작업형’으로는 로봇드론(2026년), 전문작업 육상무인이동체(2027년), 심해작업 무인잠수정(2027년), ‘자율협력형’으로는 농업용 군집 무인이동체(2024년), 모선-자선형 군집무인이동체(2027년), 재난용 군집 무인이동체(2029년)다. ‘융·복합형’으로는 무인선-무인잠수정 복합체(2028년), 수송용 육공분리합체기(2029년), 잠수가능 무인기(2029년)다. 이진규 과기정통부 1차관은 “무인이동체는 혁신성장을 가장 먼저 가시화할 분야”라며 “산·학·연·관이 힘으로 합쳐 무인이동체 핵심기술을 개발·공급할 것”이라고 밝혔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