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실검' 검증위 만드는 네이버

외부인사 중심 내년 1분기 설립

모바일 뉴스 AI·언론사가 편집





네이버가 ‘조작 논란’이 제기됐던 실시간급상승검색어 순위를 객관적으로 검증할 외부 위원회를 설립하고 뉴스 편집도 인공지능(AI) 기반으로 완전히 전환한다.


네이버 뉴스 서비스를 총괄하는 유봉석 전무는 7일 송희경(자유한국당)·오세정(국민의당) 의원 공동 주최로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포털뉴스 이대로 좋은가’ 정책 토론회에 발제자로 참석해 이 같은 내용의 개선 방안을 발표했다. 유 전무는 “한성숙 대표 직속으로 뉴스배열혁신·뉴스알고리즘혁신·실시간급상승검색어혁신 태스크포스(TF)를 각각 구성했다”면서 “공론화 과정을 통해 외부 의견을 모으고 투명하게 검증할 수 있는 위원회도 별도로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우선 네이버는 내년 1·4분기 중 뉴스 배열 공론화 위원회와 알고리즘 검증 위원회부터 출범시킬 예정이다. 위원회에 참여할 전문가도 이미 섭외 중인 상황이다. 이 조직은 네이버의 뉴스 편집과 실시간급상승검색어를 책임지는 알고리즘의 정확성과 공정성을 객관적으로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알고리즘 구축 작업에도 직접 참여하게 된다.

네이버 자체적으로도 뉴스 서비스의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유 전무는 “네이버 모바일 첫 화면에서 내부 인력이 자체 편집하는 기사는 7개로 전체의 20% 비중”이라면서 “앞으로는 이것도 AI 알고리즘과 외부 언론사에 넘겨 외부 비중을 100%로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다만 토론회에서는 뉴스 서비스와 관련한 포털의 역할을 두고 의견이 엇갈렸다. 손영준 국민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네이버 등 포털은 뉴스 편집 기능에서 손을 떼고 무작위(랜덤) 노출을 하거나 매체별 편집만 보여줘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황용석 건국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는 “포털에서 뉴스 서비스를 없애면 기사 소비 시간이 오히려 줄어들 것”이라고 우려했다.

지민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