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방송·연예

‘한국기행’ 경남 남해·경북 군위 사투리 기행…‘하모, 니캉내캉 먹구로’

‘한국기행’ 경남 남해·경북 군위 사투리 기행…‘하모, 니캉내캉 먹구로’




12일 방송되는 EBS1 ‘한국기행’에서는 ‘사투리 기행’ 2부 ‘하모, 니캉내캉 먹구로’ 편이 전파를 탄다.


▲ 할매캉 내캉! “좋지 하모~”

타지키스탄에서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공부하러 온 파란(25). 대구에서 4년을 살아 “뭐라카노 뭐라 캐싸노, 어디 가노~” 와 같은 사투리는 이미 익숙하고 표준어보다 오히려 경상도 사투리가 편해졌단다. 사투리는 문제없다고 자신만만해하는 파란.

그가 떠난 첫 여행지는 해풍과 황토의 조건이 좋아 시금치가 유명한 경남 남해다. 지금 남해는 한참 시금치 수확철. 매일 시금치를 캐 판매하는 이숙제(86), 고남지(84) 할머니의 일손을 돕기 위해 파란이도 시금치를 캐기에 나서는데 “애린 거 하지 말고 큰 기 깊이 여가지고 푹 쑤시!”, “하모 하모!” 시금치 캐는 법을 알려주는 할머니들의 말이 알쏭달쏭하다.

유자, 비자, 치자는 남해의 3대 특산물. 고남지 할머니 집 마당엔 유자나무가 몇 그루 있는데 ‘따지를 못해 청을 못 담근다’ 하니 따드리겠다며 나서는 파란. 그리곤 할머니들을 위해 한국인도 만들기 어렵다는 잡채를 만들기 시작하는데. “남한 사람이 잘 하는 기라!”, “여따 애장 좀 더 옇고 설탕 더 옇고 더꺼 더꺼” 도통 무슨 말인지... 파란이는 잡채를 맛있게 만들 수 있을까?

▲ “니들이 ‘살’ 맛을 아나~”


두 번째 찾아간 곳은 경상북도 군위군 부계면. 한적한 시골마을, 사람들이 모여 분주하게 움직이는 집이 있어 들어간 파란. 뭘 하시는지 봤더니, ‘조피’를 만들고 있단다. ‘조피’는 ‘두부’를 뜻하는 경상도 사투리.

관련기사



이 마을 사람들은 예부터 여름내 농사를 마친 후 수고했다는 뜻을 담아 두부와 탁주(막걸리)를 만들어 먹곤 했다는데. 파란이 마을을 찾아온 오늘이 바로 그 잔칫날! 이곳으로 시집 와 막걸리 만드는 법을 배웠다는 김종년(81) 할머니가 솜씨를 발휘한다.

다 된 고두밥을 펴고 누룩과 섞어 항아리에 넣은 뒤, 물을 부어 따뜻한 아랫목에 두고 3~4일 동안 기다리면 농주 완성. “살, 살이지. 고두밥. 술 할라고. 고두리 하다고 고두밥” 경상도 사투리 특징 중의 하나는 어두에 ㅆ 발음이 안 된다는 것.

그런데 할머니들과 달리 자신은 ‘쌀’이라고 발음할 수 있다며 큰소리치는 파란. 과연 대구살이 4년차 파란이는 ‘살’이 아닌 ‘쌀’ 발음에 성공할 수 있을까? 정(情)이 담긴 구수한 사투리가 겨울을 맞는 이들의 마음을 따뜻하게 데운다.

[사진=EBS 제공]

/서경스타 전종선기자 jjs7377@sedaily.com

전종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