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시골 중학교의 시험 혁식…6과목 100% 서술·논술형 출제

음성 삼성중, 영어는 객관식 혼합

예체능은 100% 수행평가

위 사진은 이 기사와 직접적 관련이 없습니다. ./연합뉴스위 사진은 이 기사와 직접적 관련이 없습니다. ./연합뉴스




충북의 한 중학교가 예체능·영어 과목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교과의 시험문제를 100% 서술·논술형으로 출제하는 혁신교육 실험에 나서 눈길을 끌고 있다.


충북 음성군에 위치한 삼성중학교가 이같이 결정한 이유는 답만 찾아내는 객관식 문제로는 학생들의 종합적인 사고력과 창의력, 논리력을 키울 수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 학교의 1학년 학생은 1학기에 한 번만 지필고사를 본다. 2학기는 자유학기제 시행으로 아예 시험이 없다. 100% 서술·논술형 문제로 시험을 보는 과목은 도덕, 국어, 수학, 사회, 과학, 역사 등 6개 과목이다. 과목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3∼8개 문항이 출제된다. 영어는 서술·논술형 문제에다 객관식 문제를 곁들여 낸다. 기초학력미달 학생들을 배려하기 위해서다. 음악·미술·체육·기술가정 과목은 수행평가로 점수를 매긴다.


이 학교가 100% 서술·논술형 문제를 내기 시작한 것은 지난해 2학기 중간고사부터다. 학생과 학부모, 교사의 의견을 수렴해 이같이 결정했다. 학교 측은 당시 학생들이 100% 서술·논술형 문제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고자 과목당 시험시간을 45분에서 50분으로 늘렸다. 교사들도 학생들의 사고력과 논리력, 창의력을 키우는 문제를 만들기 위해 고심을 거듭해 문제를 낸다.

관련기사



이원경 교사는 “교사들이 객관식 문제를 냈을 때는 시험문제를 마련하는 데 평균 5일가량 걸렸는데 지금은 10일가량 준비해 문제를 낸다”고 귀띔했다. 그러면서 “암기식·주입식 교육에 익숙했던 학생들이 처음에는 힘들다고 했는데 지금은 잘 적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교사들은 서술·논술형 시험에 대비, 특정 주제에 대한 생각을 쓰게 하고 그 내용을 토론하는 식으로 수업을 진행한다. 학교 측은 학기마다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진행해 서술·논술형 시험의 미비점, 개선점 등을 보완한다.

이 학교의 100% 서술·논술형 시험은 ‘민주적 학교문화’, ‘학생 중심 교육과정’, ‘미래사회 역량 강화 교육’으로 대변되는 행복씨앗학교(충북혁신학교)의 올해 성과 사례로 꼽히기도 했다.

/손샛별인턴기자 setja@sedaily.com

손샛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