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관광 활성화 위해 부처간 회의체 '국가관광전략회의' 신설

'관광진흥 기본계획'·'평창 관광올림픽 추진계획'·'국가관광전략회의 운영지침' 의결

'쉼표가 있는 삶, 사람이 있는 관광'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 내실화

평창 올림픽 위해 중국인 대상 한시적 무비자 혜택 및 이후 복수비자 발급도

사드 해빙으로 물꼬를 튼 국내 관광 활성화를 위해 평창동계올림픽 티켓 20만원 이상 구매한 중국인을 대상으로 15일 무비자 입국을 허용함과 더불어 국무총리 주재 관광관련 범부처 회의체인 ‘국가관광전략회의’가 신설된다.

국무조정실은 18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제1차 국가관광전략회의를 개최하고 ‘관광진흥 기본계획’과 ‘평창 관광올림픽 추진계획’, ‘국가관광전략회의 운영지침’ 3개 안건을 심의·의결했다. 이번 회의에는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비롯해 10여개 부처의 장관 및 관계자가 참석했다. 금기형 관광정책국장은 전략회의에 대해 “국무총리 주재 국가관광관련 전략회의를 신설해 조정기능을 수행하고 관광현안에 대해 신속하게 대응하고자 하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관광 유관부처의 정책을 종합한 ‘관광진흥 기본계획’을 마련하고 새 정부의 관광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양적·경제적 성과 중심에서 국민, 지역주민, 방한관광객 등 사람 중심의 질적 정책으로의 방향 전환이다. 금기형 관광정책국장은 “국민이 언제든 여행을 갈 수 있는 매력적인 콘텐츠와 편의를 제공하는 ‘쉼표가 있는 삶, 사람이 있는 관광’을 실현해 나갈 것”이라 밝혔다.


이를 위해 주요국을 방한객 규모 등에 근거해 주력·도약·신흥·고부가시장으로 분류했다. 중국, 일본, 미국이 포함된 주력시장에는 일본의 오사카·후쿠오카, 미국의 시카고·아틀란타 등 2선 시장에서 여행업계의 로드쇼 등을 진행하는 등 마케팅을 강화할 예정이다. 지난 1일 시행한 평창동계올림픽 티켓 20만원 이상 구매한 중국인에 대해 15일 무비자 입국이 가능하다는 인센티브도 적극 홍보할 예정이다. 평창동계올림픽을 맞아 입국한 중국인은 정상적으로 출국했을 경우, 5년 복수비자(기간 내 여러번 출입국 가능한 비자) 발급이 가능하다.

관련기사



인도네시아, 대만, 베트남, 홍콩 등 도약시장 확대를 위해 한류 등 대표 콘텐츠 육성도 강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무슬림 친화시장을 2022년까지 300개로 확대하고, 이동식 기도실, 기도용품도 비치할 예정이다. 평창올림픽을 맞아 중국인에게 제공되는 한시적 무비자 혜택 및 이후 이용객 대상 차후 복수 비자 발급은 제공되지 않는 대신 강원도 양양공항을 통해 입국하는 인도네시아, 베트남, 필리핀 단체관광객은 2018년 4월까지 무비자 입국이 가능하다. 현재 한국에 비자 없이 단기 체류 가능한 동남아 국가는 마카오, 말레이시아, 태국, 대만, 홍콩, 싱가포르 등이 있다. 인도 등이 속한 신흥시장 및 러시아 등 고부가시장에도 각각 시장에 맞는 전략을 개발할 예정이다.

또한 ‘관광 두레’, ‘관광형 마을기업’, ‘농촌, 생태관광 주민협의체’를 활성화하고, 한국형 디엠오(DMO) 사업도 지원한다. 디엠오란 부처, 민관, 지역주민이 유기적으로 연계돼 마케팅, 상품개발 등을 추진하는 마케팅 기관을 의미한다. 창덕궁 인정전, 파주 장릉 등 미공개 유적지를 특별 개방하고 비무장지대(DMZ) 등 고유콘텐츠 개발에도 힘을 쏟을 계획이다.

관광진흥계획 인포그래픽/사진제공=문화체육관광부관광진흥계획 인포그래픽/사진제공=문화체육관광부




관광진흥계획 인포그래픽/사진제공=문화체육관광부관광진흥계획 인포그래픽/사진제공=문화체육관광부


관광진흥계획 인포그래픽/사진제공=문화체육관광부관광진흥계획 인포그래픽/사진제공=문화체육관광부


관광진흥계획 인포그래픽/사진제공=문화체육관광부관광진흥계획 인포그래픽/사진제공=문화체육관광부


관광진흥계획 인포그래픽/사진제공=문화체육관광부관광진흥계획 인포그래픽/사진제공=문화체육관광부


우영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