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이주열 한은 총재 "가상통화, 법정화폐로 보기 곤란"

"금리인상으로 인한 가계 이자부담, 큰 부담 아냐"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서울경제DB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서울경제DB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비트코인 등 가상통화 가격 폭등 현상을 두고 ‘비이성적 과열’이 있다는 우려를 밝혔다. 지난달 단행한 기준금리 인상이 한국 경제에 큰 부담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평가도 전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 20일 서울 중구 한은 본부에서 열린 기자단 송년 간담회에서 “최근 전 세계적인 가상통화 열풍을 보면 금융완화 기조가 장기간 이어지며 비이성적 과열(irrational exuberance)도 일부 있는 것은 아닌지 하는 걱정을 한다”고 말했다. ‘비이성적 과열(irrational exuberance)’은 미국 연방준비제도 앨런 그린스펀 의장이 90년대 후반 닷컴 주가 폭등을 가리킨 표현이다.

이 총재는 “가상통화는 법정화폐로 보기 곤란하며, 투기적 모습을 보이는 데 세계 모든 중앙은행이 모여서 얘기할 때마다 우려한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한은은 중앙은행 차원에서 가상통화가 본격 확산한다면 통화정책과 통화파급경로, 지급결제시스템, 금융안정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초점을 맞춰 연구는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6년 5개월 만에 처음 단행한 지난달 기준금리 인상 영향에 관해 “금리인상이 누적되면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만 지난달 한 차례 금리인상으로 인한 가계 이자부담 증대가 실물경제 전반에 영향을 주거나 금융시스템에 부담을 줄 정도는 아니다”라고 평가했다.

관련기사



그는 임기 내 금리인상을 단행한 소감을 묻는 질문에는 “임기와 통화정책은 관련이 없다고 수차례 말했는데 세간에서는 연관지어 보는 것이 자연스러운가 보다”면서 “국내 경제 견실한 회복세에 따라 금리정책 정상화 첫걸음을 내디딜 수 있게 되었다”고 답했다.

이 총재는 추가 금리 인상 전망에는 “한 달, 두 달 후에 지표나 여건 변화 등을 계속 보고 그때 맞는 선택을 할 수밖에 없다”고 답하면서도 물가 흐름 관련 우려를 전하며 신중한 태도를 유지했다.

/허세민 인턴기자 semin@sedaily.com

허세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