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암 발생률 4년연속 하락...암 발생률 1위는 '위암'

암환자 5년 이상 생존율 70.7%로 올라

기대수명까지 살때 암 걸릴 확률은 35%

2015년 주요 암종 발생자수/연합뉴스2015년 주요 암종 발생자수/연합뉴스


우리나라 암 발생률이 4년 연속으로 하락했다. 그러나 유방암과 전립선암, 췌장암 발생률은 증가했다. 암 발생순위 1위는 위암이 차지했다.

암 환자가 일반인처럼 5년 이상 살 상대생존율은 계속 높아져 70.7%로 올라갔다. 국민이 기대수명인 82세까지 생존할 때 암에 걸릴 확률은 35.3%로 추정됐다.

보건복지부와 중앙암등록본부는 21일 2015년 국가암등록통계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2015년에 새로 발생한 암환자 수는 21만4,701명으로 전년보다 4,253명(1.9%) 감소했다. 연령표준화(2000년 주민등록인구 비율 기준) 암발생률은 인구 10만명 당 275.8명으로 2011년 325.4명, 2012년 324.0명, 2013년 315.1명, 2014년 291.5명에 이어 4년 내리 감소했다. 2012년 이후 암발생률은 매년 6.1%씩 감소하는 추세다.


암 종별로는 갑상선암 발생자 수가 전년보다 19.5%(6,050명) 감소해 암발생률 하락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위암과 대장암도 각각 2.7%, 1.6% 줄었다. 그러나 유방암, 전립선암, 췌장암은 각각 4.3%, 3.5%, 5.7% 증가했다.

관련기사



남녀를 통틀어 가장 많이 발생한 암은 위암으로 2만9,207명의 환자가 나왔다. 그다음으로는 대장암, 갑상선암, 폐암, 유방암, 간암, 전립선암 순이었다.

생존율은 높아지고 있다. 최근 5년간(2011∼2015년) 진단받은 암환자의 5년 상대생존율은 70.7%로 10년 전(2001∼2005년)보다 16.7%포인트나 높아졌다.

우리나라 국민이 기대수명(82세)까지 생존할 경우 암에 걸릴 확률은 35.3%로 나타났다. 남자(79세)는 5명 중 2명(37.9%), 여자(85세)는 3명 중 1명(32.0%)에서 암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 세계표준인구로 보정한 우리나라 암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253.8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270.3명)보다 낮은 수준이다.

/허세민 인턴기자 semin@sedaily.com

허세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