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블록체인으로 수출입 서류 위·변조 예방

삼성SDS, 해운물류 시범 적용 효과

발급절차 줄고 선적상품 알기 쉬워져

삼성SDS는 21일 삼성SDS 판교 캠퍼스에서 지난 5월부터 7개월간 진행한 해운물류 블록체인 적용 컨소시엄 결과를 발표하고 38개 참여 컨소시엄사와 그 내용을 공유했다. /사진제공=삼성SDS삼성SDS는 21일 삼성SDS 판교 캠퍼스에서 지난 5월부터 7개월간 진행한 해운물류 블록체인 적용 컨소시엄 결과를 발표하고 38개 참여 컨소시엄사와 그 내용을 공유했다. /사진제공=삼성SDS




블록체인 기술이 수출입관련 서류의 위변조를 막고 서류 발급절차를 간소화하는데 사용될 전망이다.


삼성SDS는 지난 5월부터 총 38개 민·관·연이 참여한 가운데 7개월간 진행된 ‘해운물류 블록체인 컨소시엄의 프로젝트’ 수행 결과를 21일 발표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블록체인 기술의 해운물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제 현장에 시범 적용한 사업이다.

관련기사



삼성SDS는 이날 발표에서 화주와 선사, 세관, 은행 등 물류 관련자들이 선화증권과 신용장 등 물류 관련 서류를 블록체인 기술 기반으로 공유함으로써 수출입 관련 서류 위·변조를 차단하고 발급절차를 간소화하는 효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또 선적된 상품의 정보도 추가로 확보가 가능한 것이 확인됐다. 예를 들어 신선식품을 해상으로 운송하는 경우, 사물인터넷(IoT) 기기를 통해 위치·온도·습도·진동 등 각종 정보를 블록체인에 저장하게 되고 이렇게 저장된 정보는 위·변조가 불가능해 운송과정에서 문제 발생시 책임소재를 명확히 할 수 있어 금융기관의 정확한 해상 보험료 산정을 가능하게 해준다.

삼성SDS는 컨소시엄에 참여한 기업들과 이번 프로젝트의 결과를 실제 물류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구체화하기로 했다. 김형태 삼성SDS 물류사업 부문장(부사장)은 “이번 시범 프로젝트를 통해 블록체인 기술이 해운물류 정보망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했다”며 “삼성SDS는 물류분야에 블록체인을 적용한 사례를 지속적으로 만들어 해운물류 선진화에 기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양사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