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지난해 3대 소득분배지표 일제히 악화...저소득층 소득 감소 영향

지니계수 0.357...OECD 33개 회원국 중 5위

소득 5분위 배율 7.06배...0.05배p 상승

상대적 빈곤율 17.9%...0.1%포인트 상승

지난해 우리나라 소득분배 지표가 일제히 악화됐다./연합뉴스지난해 우리나라 소득분배 지표가 일제히 악화됐다./연합뉴스


지난해 우리나라 소득 불평등도를 나타내는 소득분배 지표가 일제히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부진과 구조조정 등으로 임시일용직 일자리가 사라지면서 소득수준이 가장 낮은 1분위 계층(하위 20%)의 근로소득이 감소한 게 영향을 미쳤다.

통계청, 한국은행, 금융감독원이 전국 2만 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해 21일 발표한 ‘2017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기준 지니계수는 0.357로 전년보다 0.003 상승했다. 지니계수는 소득불평등도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로 수치가 ‘0’이면 완전평등, ‘1’이면 완전불평등을 의미한다.

통계청은 그동안의 소득분배지표가 고·저소득층의 표본 대표성이 낮아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을 받아드려 이를 보완했다. 그 결과, 지니계수는 기존 지니계수보다 높아졌다. 2015년에는 0.354로 0.013, 2016년에는 0.357로 0.015 치솟았다. 보완된 지니계수를 기준으로 하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내 우리나라의 소득분배 불평등도 순위도 상승한다. 2014년 기준 33개 회원국 중 중간 수준에서 5위 수준으로 뛰어오른다.


상위 20% 소득의 평균값을 하위 20% 소득의 평균값으로 나눈 소득 5분위 배율은 지난해 7.06배로 전년보다 0.05배p 상승했다. 배수가 높아질수록 소득분배의 불균등 정도가 심화된다는 뜻이다. 행정자료 보완 이전 소득 5분위 배율은 2015년 6.41배, 2016년 6.42배로 보완 이후와 격차가 크다.

관련기사



상대적 빈곤율은 17.9%로 전년보다 0.1%포인트(p) 상승했다. 상대적 빈곤율은 중위소득 50% 이하에 속한 인구를 전체 인구수로 나눈 비율을 말한다. 보완 이전 상대적 빈곤율은 2015년 기준 15.9%였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경기 부진과 구조조정, 인구 구조상 소득이 급감하는 노인 비율이 확대되면서 저소득층의 근로소득이 감소해 소득분배지표가 악화로 전환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지난해 임시일용질 일자리는 전년 대비 7만명 줄었고, 소득 수준이 가장 낮은 1분위의 근로소득은 전년대비 5.1% 감소했다.

/허세민 인턴기자 semin@sedaily.com

허세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