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오래쓰고 똑똑해진…'내귀에 캔디' 무선이어폰

삼성 '아이콘X' 최대 10시간 사용

출시 두 달만에 1.3만대 판매 인기

애플 '에어팟' 성탄시즌 맞아 품절

네이버 '마스' 10개국어 동시통역

2215A14 주요 무선 이어폰 현황




스마트폰·태블릿 등 스마트기기들이 빠른 속도로 발전하면서 무선 이어폰 시장도 급성장하며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지난 10월 말 내놓은 무선 이어폰 ‘아이콘X(2018년형)’는 출시 두 달 만에 1만3,000대 넘게 팔려 나갔다. 이는 지난해 전 버전 제품이 출시된 후 동일 기간 동안 팔린 수량(약 9,200대)의 40% 이상 증가한 수준이다. 전작에 비해 똑똑해지고, 디자인 측면에서도 개선된 게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아이콘X 신제품은 우선 사용 시간을 크게 늘린 게 가장 큰 특징이다. 전작은 케이스에 보관할 때 전력이 새어나가면서 방전되는 현상이 발생했었지만, 신제품은 이를 개선하고 배터리 용량을 대폭 늘려 최대 5시간까지 음성통화·스트리밍이 가능하다. 이어폰 케이스로 한 번 더 충전이 가능해 최대 10시간까지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블르투스를 활용해 무선으로 음악을 전송하고, 즐겨찾기 리스트 생성·음질 개선 등도 가능해졌다. 빅스비·S보이스를 지원하는 데다 운동 정보 기록·실시간 음성 코치 등 비서 기능을 더한 점도 매력적이라는 분석이다.

관련기사



애플 ‘에어팟’ 역시 크리스마스 시즌을 앞두고 품귀 현상이 재연되고 있다. 공식 홈페이지나 대부분 소매점에서 품절돼 1월 초까지 배송이 어려운 상태다. 에어팟은 출시 초기에도 공급난을 겪은 바 있는데, 애플은 에어팟 내년 생산량을 올해의 두 배 수준인 2,500만~2,800만대까지 높일 것으로 알려졌다. 에어팟 올해 출하량은 1,300만~1,700만 대 정도로 추정된다.

무선 이어폰 시장이 급성장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포털사인 네이버도 출사표를 던졌다. 내달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 전시회(CES) 2018에서 신제품 ‘마스’를 공개할 예정이다. 마스의 가장 큰 특징은 네이버의 인공지능(AI) 플랫폼 클로바와 연동해 AI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클로바의 AI 통번역 서비스 ‘파파고’를 활용해 10개 언어에 대한 동시통역 서비스도 가능하다. 내년 상반기 한국을 시작으로 판매 범위를 확장한다는 방침이다. 이외에도 소니를 비롯해 뱅앤올룹슨(B&O), 브리츠 등 전통 음향기기 업체들도 유사 제품을 내놓으며 차별화 포인트에 고심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SA)는 귀에 착용하는 ‘히어러블’ 기기 시장이 오는 2022년까지 연평균 101.6%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시장조사기관 와이포어 역시 지난해 상반기에 이미 무선 이어폰 판매량이 유선 이어폰을 넘어섰으며, 2017년 전 세계 5,000만대 수준에서 2020년 9,000만 대에 달하는 히어러블 기기가 출하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업계 한 관계자는 “무선 이어폰은 케이블이 없어 이동하거나 활동할 때 걸리적거리지 않아 편리하지만, 시장 초창기엔 사용 시간·음질 등이 해결해야 할 과제로 떠올랐었다”면서 “지금은 배터리 성능은 물론 기능적으로도 빠른 발전 속도를 보이고 있어 관련 시장은 계속해서 성장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권용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