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가구당 빚 7.000만원…20대 이하 '청년부채' 높은 수준

'2017 가계금융복지조사' 발표

20~30대 재무건전성 크게 악화…소득보다 빚 빠르게 늘어

‘2017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올해 가구당 평균 부채는 7.022만원으로 1년 전보다 4.5% 늘어났다./서울경제DB‘2017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올해 가구당 평균 부채는 7.022만원으로 1년 전보다 4.5% 늘어났다./서울경제DB


우리나라의 가구당 부채가 7,000만원대로 진입했다. 10∼20대 청년층의 빚은 1년 사이 42%나 급증했다.

통계청·한국은행·금융감독원이 21일 발표한 ‘2017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가구의 평균 부채는 7,022만원이다. 1년 전인 6,719만원보다 4.5% 늘어난 규모다. 7,022만원 중 금융부채가 4,998만원이고 임대보증금이 2,024만원이다.

부채 보유 가구의 비중은 63.2%다. 지난해보다 1.4%포인트 낮아졌다. △1,000만∼3,000만원 보유 가구(18.4%), △1,000만원 미만(17.5%), △1억1,000만∼2억원(13.3%) 순이다. 3억원 넘는 가구도 8.3%에 달했다.


가구주 연령별로는 40대의 평균 부채가 8,533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50대 8,524만원, △30대 6,872만원, △60세 이상 5,165만원, △30세 미만 2,385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관련기사



지난해 대비 부채 증가율은 30세 미만이 41.9%로 가장 높았다. 10대 또는 20대 가구의 빚이 큰 폭으로 늘었다는 의미다. 지난해 조사에선 1,681만원이었다.

재무건전성 측면에서도 20∼30대는 지난해보다 부쩍 나빠졌다. 재무건전성은 금융부채나 원리금 상환액을 처분가능소득과 비교해 평가한다. 금융부채를 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눈 비율은 전체 가구가 121.4%로 지난해보다 4.0%포인트 상승했다. 금융부채가 5.9% 늘어난 반면, 처분가능소득은 2.4% 늘어난 데 그친 결과다. 연령별로는 40대가 133.1%로 가장 높았고, 30세 미만은 79.6%로 가장 낮았다. 그러나 지난해와 비교하면 30세 미만에서 이 비율이 가장 많이(23.2%포인트) 상승했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보도참고자료에서 “가계부채 증가세 지속으로 전반적인 채무부담이 증가했다”며 “30대 이하 가구의 채무부담이 높은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장아람인턴기자 ram1014@sedaily.com

장아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