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SKC, 폴더블 디스플레이 핵심 '투명PI필름' 공장 만든다

SKC 직원들이 생산된 투명 폴리이미드(PI) 필름을 펼쳐서 살펴보고 있다. SKC는 680억원을 들여 충북 진천공장에 투명PI필름 양산 시설을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오는 2019년 10월부터 상업 생산에 들어갈 예정이다. /사진제공=SKCSKC 직원들이 생산된 투명 폴리이미드(PI) 필름을 펼쳐서 살펴보고 있다. SKC는 680억원을 들여 충북 진천공장에 투명PI필름 양산 시설을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오는 2019년 10월부터 상업 생산에 들어갈 예정이다. /사진제공=SKC


SKC(011790)가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핵심소재인 투명 폴리이미드(PI) 필름 사업 진출을 결정했다.

SKC는 27일 오후 서울 본사에서 이사회를 열고 투명PI필름 신규 생산시설 도입을 위해 680억원을 투자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투명PI필름은 유리처럼 표면이 딱딱하면서도 접힌다. 또 여러 번 접혀도 자국이 남지 않는다. 이런 특성에 따라 접을 수 있는 ‘폴더블’이나 둥글게 말 수 있는 ‘롤러블’ 같은 차세대 디스플레이에서 기존의 커버 유리를 대신할 수 있는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SKC는 2019년 7월까지 충북 진천공장에 설비를 도입하고 10월부터 상업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SKC 자회사인 SKC 하이테크앤마케팅이 고경도 코팅 등 필름 가공을 담당할 계획으로 이를 위해 SKC 하이테크앤마케팅에서도 170억원을 별도 투자하기로 했다. SKC 관계자는 “2021년 이후 시장 점유율을 30% 이상 확보하는 것이 목표”라며 “파일럿 생산시설을 통해 양산 기술은 이미 갖췄다”고 설명했다.


SKC가 자체적으로 투명PI사업에 투자하기로 하면서 코오롱인더스트리와의 경쟁도 본격화될 전망이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지난해 약 900억원을 들여 구미공장에 생산설비를 구축하고 있으며 내년 1·4분기부터 본격 양산이 가능할 전망이다.

관련기사



SKC는 코오롱인더스트리와는 다르게 기존 유색PI필름 기술을 이용해 투명PI필름을 양산하는 기술을 확보했다. 특히 디스플레이용 광학필름을 만들어온 SKC의 기술력과 함께 스마트폰용 글래스 데코레이션 필름 등 높은 기술력을 요구하는 제품을 만드는 SKC 하이테크앤마케팅의 가공기술이 결합하게 되면 더욱 완성도 높은 투명PI필름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SKC의 투자 결정은 향후 본격적으로 폴더블 디스플레이 시장이 열릴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시장조사기관인 SA(Strategic Analytics)에 따르면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 시장이 2019~20년 사이에 본격화하고 2022년 약 5,100만대 가량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다.

이용선 SKC 필름사업부문장은 “내년부터 필름사업부문을 인더스트리소재사업부문으로 개편하고, PET 필름 중심에서 벗어나 투명PI 필름 등 미래 산업이 요구하는 고기능성 소재로 사업영역을 확대해나가겠다”고 말했다.

박성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