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대 총장 선출 과정에 학생 참여한다

총추위 규정 개정안 의결…정책평가 명문화

정책평가단 반영 비율도 높여

내년 서울대 총장 선출 과정에 학생들도 참여하게 됐다. 교수와 교원 등 학내 구성원들의 정책평가 의견 반영 비율도 더욱 높아졌다.

서울대는 27일 이사회를 열고 총장 선출 제도 개선을 위한 ‘서울대 총장추천위 규정·시행세칙’ 개정안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개정안은 임의조항이던 정책평가 실시를 명문화했다. 정책평가단은 교원(전체 전임교원 20% 이내), 직원(교원정책평가단 14%), 학생(전체 학생 참여, 교원정책평가단 9.5% 환산 적용), 부설학교 교원(총 4명) 등으로 구성하도록 바뀌었다. 학생과 부설학교 교원은 정책평가단에 처음으로 추가됐다.


총장 후보 평가 과정에서 정책평가단의 영향력도 더 높아졌다. 기존에는 총장추천위원회의 평가가 6, 정책평가가 4였는데, 이번에 정책평가 7.5와 총추위 평가 2.5로 바뀌었다. 교수·학생들의 요구대로 직선제 또는 교수 전체 참여 수준까지는 아니지만 의견 반영 수준이 한층 높아졌다.

관련기사



정책평가 대상이 되는 총장예비후보자는 기존과 같이 5명을 유지하기로 했다. 이사회의 총추위 추천 위원수는 기존 5명에서 3명으로 줄었다. 이밖에 총장후보 초빙위원회 설치를 의무화하고 이사회에 총장후보자 추천시 총추위의 선정결과 순위를 명기·공표하도록 했다. 총장예비후보자에 대한 총추위 평가결과는 정책평가 결과 공표 후 공개하기로 했다.

성낙인 서울대 총장의 임기는 내년 7월 중순이다. 서울대는 총추위가 예비 후보자 5명을 선정하면 정책평가단을 구성해 후보자 점수를 매긴다. 이후 총추위와 정책평가단 점수를 합해 이사회에 최종 후보 3명을 추천하면 이사회 투표로 최종 총장이 선출된다.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