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文대통령, 정초부터 '경제 드라이브'

3일 취임 후 첫 국내 산업시찰

이달 규제개혁 토론회도 주재

문재인 대통령이 새해 초부터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드라이브를 건다. 각종 경제현안 행사들을 직접 챙기고 산업현장 등도 방문해 경제주체들과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하겠다는 의지의 표명으로 풀이된다.31일 청와대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취임 후 처음으로 오는 1월3일 국내 산업현장 시찰에 나선다. 또한 1월 중 규제개혁 대토론회(가칭), 청년고용 점검회의를 직접 주재하며 기업의 투자 활성화와 고용 증진을 돕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이 중 산업현장 시찰은 대기업 등의 생산현장을 찾아가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산업 관련 동향을 듣고 행사 참석자와 각 산업 부문에 희망이 깃들기를 기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이 취임 후 대기업의 생산현장을 찾은 것은 12월 방중 당시 충칭 현대차 공장이 유일했다. 문 대통령은 역대 대통령들과 달리 5월에 취임한데다 북핵 문제 등 다른 대내외 현안들이 워낙 급박하게 돌아가 물리적으로 경영현장을 다닐 여유가 없었다. 따라서 새해 초부터 산업현장을 직접 방문함으로써 스킨십 부족에 대한 경제계의 아쉬움을 달래려는 것으로 이해된다.


1월 중 문 대통령이 주재할 규제개혁 대토론회에서는 정부 부처 고위관계자들과 기업인, 경제 전문가 등이 한데 모여 기업의 신성장동력 확보를 저해하는 제도적 장벽들을 지적하고 이를 타개하는 방안을 찾는 자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의 또 다른 관계자는 “2017년에는 혁신성장을 위한 정책적 방향을 잡았기 때문에 새해에는 이 같은 기조를 실천함으로써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내는 데 주력할 것”이라며 “그런 차원에서 드론·스마트시티 등 혁신산업들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전했다. 같은 달에 열릴 청년고용 점검회의에서는 청년들에게 직접 문 대통령이 청년들로부터 직접 고용난의 생생한 현장 이야기를 듣고 위로와 지원 약속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이 같은 행보의 배경에는 경기회복에 대한 자신감이 자리 잡고 있다. 실제로 문 대통령은 무술년 신년사에서 2017년의 성과에 대해 “경제도 앞으로 나아갔다”며 “무역 1조달러 시대를 다시 열었고 3%대 경제성장률을 회복했다”고 스스로 평가했다.

한편 문 대통령은 1월1일 ‘2017 올해의 의인’들과 해맞이 산행을 한 후 떡국을 먹는다. 2일에는 각계 주요 인사 250여명을 초청해 청와대에서 신년인사회를 연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