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OECD 생산인구 20년간 100만명 주는데…한국은 700만명 ↓

보건사회연구원 '고령사회 대응 중고령자 인력 활용' 보고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의 생산가능인구가 향후 20년간 100만명 줄어드는 동안 우리나라는 700만명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의 고령화 속도가 다른 나라들에 비해 압도적으로 빠르다는 얘기다.

2일 보건사회연구원의 보건복지포럼 최신호에 실린 ‘고령사회 대응 중고령자 인력 활용’ 보고서에 따르면 OECD 34개국 회원국의 15~64세 생산가능인구는 지난해 8억3,776만명에서 2037년 8억3,659만명으로 줄어든다. 약 112만명 감소, 감소율로 따지면 -0.1%다.

반면 우리나라 생산가능인구는 같은 기간 3,702만명에서 3,002만명으로 700만명이나 감소한다. 감소율은 -18.9%다.


특히 OECD는 30대 이하에서만 인구가 줄지만 한국은 40대와 50대까지도 인구 감소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됐다. 40대와 50대 감소율은 각각 18.8%와 11.9%다. 20대와 30대 감소율 역시 OECD보다 크다. OECD의 20·30대 인구 감소율은 각각 3.3%지만 한국은 33.5%와 29.0%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는 이미 지난해부터 생산가능인구 감소가 시작됐다.

관련기사



젊은층 인구 감소와 반비례해 노인 인구는 급증한다.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인구는 2037년에 118.6% 늘어난 1,134만명이 된다. OECD는 노인 인구 증가율이 47.4%에 그친다.

급격한 고령화는 노동시장·경제·사회 전반에 큰 충격을 줄 것으로 보인다. 연구를 수행한 오민홍 동아대 경제학과 교수는 “OECD 국가는 인구 감소 폭이 완만하고 특정 연령대의 감소를 인접 연령대가 보완할 수 있지만 우리나라는 20~40대가 모두 큰 폭으로 감소해 60세 이상 고령층이 이를 대체하기 어렵다”며 “청년과 30~40대 취업 비중이 높은 산업의 경우 노동력 부족에 따른 어려움이 가중되고 경제 활력이 급속하게 떨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오 교수는 이어 “고령화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고령 인력 활성화 정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며 “고령자 상대 직업훈련을 강화하고 임금피크제·유연근무제 등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서민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