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중기부 승격 맞춰 중기연구원 기능 대폭 강화

중기연구원 5본부 2실 체제로 조직개편 단행

중기부 승격에 발맞춰 중소기업연구원이 연구기능과 통계분석 기능을 대폭 강화한다.

중소기업연구원은 2일 2본부 3실 체제에서 5본부 2실 체제로 조직을 개편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연구본부, 정책정보본부, 경영기획실, 감사실, 대외협력실의 2본부 3실 체제에서 기획조정본부, 혁신성장연구본부, 상생협력연구본부, 통계분석본부, 정책평가본부, 감사실, 대외협력실로 기능과 조직이 대폭 확대된다.


이번 조직개편은 기존 중소기업청이 중소벤처기업부로 승격함에 따라 연구원 기능 및 역할 증대에 대한 높아진 기대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실시됐다고 연구원 측은 설명했다.

우선 중기 지원정책을 기능별로 구분해 소연구실 체제로 구성돼 있던 연구본부를 새 정부의 핵심 정책인 ‘혁신성장’과 ‘상생협력’ 두 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혁신성장 연구본부’와 ‘상생협력 연구본부’ 2본부 체제로 재편했다.


혁신성장 연구본부는 혁신창업 연구실, 스케일업(scale-up) 연구실, 지역경제 연구실, 일자리 혁신센터로 구성되며, 중소기업의 창업부터 스케일업까지, 그리고 이를 통한 일자리 창출 및 지역경제 활성화 등으로 이어지는 중소기업 중심 경제 전반의 사이클을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관련기사



상생협력 연구본부는 소상공인 연구실, 동반성장 연구실, 협동조합 연구센터로 구성되어 영세 소상공인의 보호와 혁신에서부터 대?중소기업이 상호 윈윈하며 성장할 수 있는 상생협력 및 공정경제, 그리고 생태계 구축 연구에 방점을 맞춘다.

통계 기반의 과학적 정책수립을 지원하기 위해 중기 관련 기초통계 구축 및 고유 통계 신설, 계량분 석 역량의 강화, 현안 이슈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위해 통계분석 본부를 신설한 것도 이번 조직개편의 주요 특징이다. 동향분석실은 현안 분석 및 대내외 동향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여 정책 대안 제시 및 선제적 아젠다 세팅 업무에 주력할 계획이며, 계량분석실은 중기 관련 통계의 정비, 기존 통계 자료의 가공 및 편집을 통한 중기 고유 통계 생성, 지원대상 및 수단별 통계정보 DB화 등으로 과학적 정책 수립 및 집행을 위한 중소기업 고유의 통계 기반을 구축한다. 중기 정책의 평가조정기능 강화를 위해 ‘정책정보본부’를 ‘정책평가본부’로 변경했으며, 연구원 위상의 확립 및 연구조정기능 강화를 위해 ‘경영기획실’을 ‘기획조정본부’로 확대, 개편했다. 정책평가본부는 중기부 승격에 따른 중기 정책의 기획·평가·조정 기능 확대 요구에 대한 효율적 지원 및 대응을 위해 3실 체제(정책정보실, 정보관리실, 정책평가실)로 개편했다.

기존 조직 내 ‘실’로서 위치했던 ‘경영기획실’은 연구조정 기능 확대와 공공기관으로서의 기관 신뢰도 및 위상 강화를 위한 기획?행정 업무 강화 측면에서 ‘기획조정본부’(연구조정실 + 경영지원실)로 기능을 대폭 강화했다. 국제협력센터는 ‘글로벌통상연구센터’로, 통일경제연구센터는 ‘동북아경제연구센터’로 개편했는데 대내외 환경변화에 맞춰 글로벌 통상 및 동북아 경제 분야를 대상으로 연구 및 사업을 강화할 계획이다.

김동열 원장은 “중소기업연구원이 국내 유일 중소벤처기업 전문 종합 연구기관이자 중소벤처기업 관련 국내 최고의 개방적 정책 플랫폼으로 도약하기 위한 첫걸음”이라면서, “변화된 환경과 높아진 기대에 부응하는 중소기업연구원이 되겠다”고 덧붙였다.

정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