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애플 집단소송, 국내서만 30만 뭉친다

구형 배터리 교체 할인 나섰지만

수익장사 논란…보상 공지도 허술

소송 참여자 벌써 24만명 넘어서

시민단체도 訴 제기 나서기도

애플 로고




애플코리아가 구형 아이폰 성능 고의 조작과 관련해 배터리 교체비용 할인을 시작했다. 하지만 원가 10달러(약 1만원)에도 못 미치는 배터리를 3만4,000원에 교체해주는 등 여전히 이익을 남기려는 태도를 보이고 있고, 서비스 개시 시점도 공식적으 언급하지 않아 ‘성의 없는 대응’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국내에서만 이미 20만 명을 훌쩍 넘어 30만명에 가까운 소비자들이 소송에 나서겠다는 의사를 밝힐 정도로 논란은 사그라들지 않는 모습이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애플코리아는 이날부터 배터리 교체비용을 할인해 접수를 받기 시작했다. 아이폰6 이상 사용자가 개별 AS 업체를 방문하면 원래 교체비용인 10만원에서 6만6,000원이 인하된 3만4,000원에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다.


하지만 이같은 애플의 조치에도 소비자 반응은 냉담하다. 우선 미국에서 이미 배터리 교체를 시작한 와중에도 국내에선 서비스 개시 시기에 대한 설명이 없어 원성을 샀다. 미국에선 당초 예고보다 빠른 지난달 30일(현지시각) 배터리 교체를 시작했지만, 애플코리아 측은 홈페이지에 ‘미국과 동일한 수준의 보상 프로그램을 진행하겠다’는 공지만 올렸을 뿐, 아무런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관련기사



0315A14 아이폰_c


고의로 제품 성능을 조작해놓고도 배터리 교체를 통해 이익을 남기려는 태도를 유지하는 점도 소비자들은 불만이다. 글로벌 리서치회사 IHS마킷이 지난 2014년 발간한 보고서를 보면 아이폰6 배터리 교체 원가는 3.6달러(약 3,800원), 아이폰6플러스는 4.6달러(4,800원) 수준이었다. 애플은 절반 이상을 깎아줬다고 생색을 내는 태도를 보이고 있지만, 소비자들은 “피해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보상” “끝까지 장사만 하려 한다”는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논란이 계속되면서 애플을 상대로 소송에 나서겠다는 소비자는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미국을 포함해 이스라엘·프랑스·한국·호주 등 5개국에서 15건에 이르는 소송이 진행 중이며, 프랑스에선 소비자단체 형사소송까지 제기된 상황이다. 일부 외신들은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 책임론까지 제기하는 상황이다.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배신감을 느끼는 애플 이용자들에게 쿡 CEO가 할 수 있는 최소한의 일은 사과문에 자신의 이름을 넣는 것”이라며 이번 사과 성명에 CEO 서명이 없었던 점을 비판했다. 팀 쿡은 앞서 2012년 애플 맵에 따른 사과 성명과 2016년 아이폰 잠금장치 해제를 둘러싸고 FBI(미 연방수사국)와 충돌을 빚었을 때는 회사 성명에 서명을 한 바 있다. 국

국내의 경우 이날 오전까지 한누리를 통해 참여 의사를 밝힌 소비자는 24만 명을 넘어섰고, 현 추세로 보면 30만명이 넘는 소비자가 참여할 것으로 점쳐진다. 특히 법무법인 한누리에 이어 시민단체 소비자주권시민회의(소비자주권)도 집단소송에 나서기로 했다. 소비자주권 측은 “한국의 평균기온은 25.9°로 주변 온도가 내려가 아이폰 베터리의 전력 공급에 영향을 줄 정도가 아니다”며 “해당 아이폰은 불과 1~3년 전 출시돼 신형 휴대폰과 다름이 없고 배터리에 잔량이 적음으로 인한 꺼질 염려 때문에 아이폰의 성능을 고의로 떨어뜨렸다는 주장은 다른 불순한 의도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권용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