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재테크

진화하는 한국형 헤지펀드 ..개인에겐 아직도 '그림의 떡'

공모재간접펀드 상품성 빈약

성과보수·환매주기 등 해결 필요

아예 공모운용사 전환 검토도

1115A23 헤지펀드


한국형 헤지펀드가 양적 성장을 거듭하고 있지만 일반 투자자가 투자하기에는 여전히 진입 장벽이 높은 것으로 지적된다. 개인투자자를 유도하기 위해 도입된 사모투자 재간접펀드(헤지펀드 공모재간접) 역시 구조적인 제약 요소로 상품화가 어려운 형편이다. 공모재간접펀드를 내놓기 어렵자 일부 헤지펀드(사모펀드) 운용사는 공모운용사 전환을 검토하는 등 헤지펀드 운용사 자체적으로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10일 자산운용업계에 따르면 라임자산운용과 J&J자산운용, DS자산운용 등이 공모펀드 운용사 전환 작업에 착수했고 타임폴리오자산운용과 플랫폼파트너스자산운용도 공모운용사 전환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이들 헤지펀드운용사는 공통적으로 현재 공모재간접펀드 구조로는 다양한 구조의 헤지펀드를 편입시키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헤지펀드운용사 관계자는 “현재 구조로는 공모재간접펀드 기준가격에 헤지펀드의 성과보수가 차감되기 어렵다”며 “공모재간접펀드를 중간에 투자하는 투자자는 자신이 부담하지 않아도 되는 헤지펀드 성과보수를 부담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헤지펀드운용사 관계자는 “환매와 결산의 경우 자금이 입금되는 날에 성과보수가 차감되고 그 이후에 공모재간접펀드의 환매를 확정시켜야 하기 때문에 환매주기가 길어진다는 문제점도 있다”고 말했다. 이런 까닭에 이미 헤지펀드 공모재간접펀드를 출시한 미래에셋운용과 삼성자산운용은 수익 발생 여부와 관계없이 환매금액을 기준으로 환매수수료를 부과해 투자자 부담을 줄이는 고육지책을 쓰고 있다.


아울러 공모펀드에 편입되는 헤지펀드의 투자 포트폴리오와 운용방법 등이 고스란히 노출된다는 부담도 있다. 헤지펀드 운용사 관계자는 “수익률과 안정성이 좋은 헤지펀드를 편입시킨다는 취지와 달리 해당 펀드의 투자내역만 노출돼 공모재간접펀드 운용사가 상품을 베껴 출시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사정이 이렇자 라임운용 등은 자체적으로 공모재간접펀드를 만들기 위해 공모운용사 전환을 서두르고 있다. 헤지펀드 운용사 관계자는 “공모운용사로 전환해 자사 헤지펀드만을 편입시킨 공모재간접펀드를 내놓을 경우 성과보수 문제와 운용내역 노출을 피할 수 있게 된다”며 “시장경쟁력과 상품성을 위해 헤지펀드운용사의 공모전환이 가시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이런 경우에도 한 펀드에서 종류별로 성과보수를 차등할 수 있는 펀드 설정이 불가능한 점에서 자본시장법 개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송종호·김연하기자 joist1894@sedaily.com

송종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