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오후 서울 동대문 메가박스에서는 영화 ‘공동정범’(제작 연분홍치마, 감독 김일란, 이혁상)시사회 및 간담회가 열렸다. 이날 간담회에는 김일란, 이혁상 감독과 김덕진 천주교인권위원회 사무국장 등이 참석했다.
‘공동정범’은 지난 2009년 1월 벌어진 용산참사 생존자들의 목소리를 담은 다큐멘터리로, 불타는 망루에서 살아 돌아왔지만 공동정범으로 기소돼 형을 살다나온 생존자들의 트라우마와 생존자들 간의 갈등을 다루는 영화다. 여전히 ‘불타는 망루’안에 있는 생존자의 트라우마와 갈등에 주목해 국가 폭력의 실체를 드러내고자 한 작품이다.
지난 2012년 개봉해 흥행 다큐멘터리의 포문을 열었던 ‘두개의 문’의 스핀오프로, 김일란 감독이 이번엔 이혁상 감독과 손을 잡았다. ‘두개의 문’이 경찰의 시선으로 참사를 재구성했다면, ‘공동정범’은 이후 생존자들의 목소리에서 참사에 대한 답을 찾는다.
이날 김일란 감독은 “철거민(생존자)들의 갈등이 어디서부터 시작됐는가를 보면 검찰이 철거민을 기소할 때부터”라며 “검찰이 재판을 불리하게 이끌어 갔고, 그 재판이 출소 이후에도 (생존자들이) 서로 반목하게 하는 원인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분들이 서로 미워하는 것이 아니고 갈등 자체가 국가 폭력의 결과”라며 “이를 드러내기 위해 ‘공동정범’이라는 제목을 썼다”고 말했다.
공동 연출을 맡은 이혁상 감독 역시 “처음에 기획할 때는 ‘두개의 문’이 철거민의 목소리가 빠진 불완전한 다큐였기 때문에 철거민들이 사면되면 망루 안의 이야기를 담을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며 기획의 초점이 변화했음을 설명했다.
이 감독은 “(생존자들이) 망루 안의 이야기보다 서로 얼마나 감정이 상했는지에 대해 더 이야기를 하는 걸 보고, 진상규명이 과연 무엇일까 의문이 들기 시작했다”며 “서로 상처받고 할퀴는 이 상황을 그리는 것이야 말로 용산 참사가 국가 폭력의 결과임을 드러내는, 용산 참사를 새롭게 환기시킬 방법이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또 “운동 진영 내 갈등을 보여줌으로써 반성과 성찰을 가져올 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참사가 있으면 보통 유가족에 포커싱(집중)을 하게 되는데, 생존자의 이야기를 듣는 것도 균형있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영화 속에선 이충연(용산4구역 철거대책위원장)·김창수(성남 단대동 철거민)·김주환(서울 신계동 철거민)·천주석(상도4동 철거민)·지석준(서울 순화동 철거민) 총 5명이 주인공을 만날 수 있다. 두 감독은 주인공들을 바라보는 촬영 당시의 심정을 전하며, 생존자들 간의 갈등을 드러내는 방식이 곧 국가 폭력을 드러내는 방식임을 강조했다.
이혁상 감독은 “화초를 예쁘게 가꾸던 김주환 서울 신계동 철거민대책위원장에게 개인적으로 마음이 다가갔다”며 “화초를 가꾸고 달팽이를 키우는 섬세한 감정을 가지고 계신 그분이 그 날(용산 참사)의 트라우마로 돌변하는 걸 보면서 얼마나 힘들었으면 그랬겠냐는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김주환 위원장의 감정의 진폭이 참사의 트라우마를 드러내고 있다는 것.
김일란 감독 역시 “이충연 서울 용산4구역 철거민대책위원장이 가장 힘든 주인공이었다”며 “때론 안쓰럽고, 때론 이해하기 힘들고, 대체 (이분에게) 4년 간 무슨 일이 있었기에 방어벽이 이렇게 높을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 감정선을 따라가는 것이 가장 힘들었다”고 말했다.
김 감독은 또 “공동정범이라고 국가에 의해 묶인 순간, 억울함과 분노들이 출구를 찾지 못해 서로를 향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국가 폭력은 보이는 것이 아니라 보이지 않는 형식으로 이분들의 삶을 갉아먹고 있다”고 했다.
김 감독은 영화를 통해 국가 폭력을 드러냄은 물론, 주인공들의 상처가 치유될 계기가 마련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분들이 영화를 다같이 보고나서 자신의 상처와 고통에 너무 집중한 나머지 타인의 상처를 미처 보지 못했던 것에 마음 아파했다”며 “영화를 보면서 서로의 상처가 얼마나 깊고 아물기 위해서 서로 어떤 이야기를 들려줘야 하는지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고 했다.
한편, 다큐멘터리 영화 ‘공동정범’은 1월 25일 개봉한다.
/서경스타 오지영기자 sestar@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