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美 셧다운 후폭풍] 공화당 지도부, 트럼프 ‘핵옵션’ 사용 요구 거부

필리버스터 무력화에 반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AFP연합뉴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AFP연합뉴스




미국 공화당 상원 지도부가 21일(현지시간) ‘핵 옵션(nuclear option)’을 사용해 예산안을 강행 처리하라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를 거부했다.


미치 매코널 공화당 상원 원내대표(켄터키)는 이날 대변인을 통해 “‘공화당 콘퍼런스(RCUSS)’는 입법 규정을 바꾸는 데 반대한다”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트위터를 통해 지금처럼 여야가 팽팽히 맞선 교착상태가 계속되면 공화당이 ‘핵 옵션’ 제도를 활용해 단기 지출예산안이 아니라 아예 장기 예산안을 통과시켜야 한다고 요구한 바 있다.


상원 재적 100석 중 과반인 51석을 보유한 공화당은 당내 이견이 전혀 없다고 가정할 때, 민주당이 전원 반대하더라도 이론상으로는 안건의 단독 처리가 가능하다.

관련기사



그러나 민주당이 필리버스터(합법적 의사진행방해)에 돌입하면 공화당 단독 처리가 불가능해진다. 필리버스터를 종결하려면 토론종결 투표에서 60명 이상이 찬성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때 필리버스터를 무력화할 수 있는 비장의 무기가 바로 ‘핵 옵션’이라는 의사 규칙이다. 핵 옵션을 사용하면 필리버스터 종결 요건이 단순 과반(51표)으로 낮아진다.

공화당 지도부가 핵 옵션 사용을 일단 거부함에 따라 셧다운 정국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핵 옵션을 가장 최근에 사용한 것은 공화당이다. 지난해 4월 민주당이 닐 고서치 연방 대법관의 인준을 저지하자 핵 옵션을 발동해 필리버스터 시도를 무력화하고 인준안을 단독 처리했다. 이에 앞서 민주당도 여당이자 상원 다수당(55석)이었던 지난 2013년 버락 오바마 당시 대통령이 제출한 고위 공직자 인준안 등이 공화당의 반대에 막히자 핵 옵션을 활용해 이들 안건을 통과시킨 바 있다.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