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기업

[브리핑/백브리핑] 美 동부 최대 원유 정제업체 '필라델피아에너지' 파산 신청

미국 동부의 최대 원유 정제 업체인 ‘필라델피아에너지솔루션스’가 파산했다.

블룸버그통신은 필라델피아에너지가 22일(현지시간) 법원에 파산을 신청했다고 보도했다. 필라델피아에너지는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남부에 위치한 정유회사로 동부 전체 원유 정제 규모 중 25%를 담당한다. 필라델피아에너지는 이번 파산으로 3억~3억5,000만달러(약 3,200억~3,750억원)의 부채를 탕감받을 계획이다.


필라델피아에너지는 파산에도 정유공장을 평소처럼 가동할 계획이지만 로이터통신은 총 1,100명의 인력이 언제든 해고될 수 있어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에 부담이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경영난 봉착한 이유

환경규제 RFS로 생산비부담 증가

부채 최대 3억5,000만弗 달해

업계 “규제 수정해야” 한목소리


필라델피아에너지의 파산은 조지 W 부시 전 행정부 당시 입안된 환경규제인 재생연료기준(RFS) 때문으로 분석된다. RFS는 정유사가 친환경 에탄올을 가솔린에 혼합하도록 하고 이를 수행할 수 없는 기업에는 ‘재생에너지등록번호(RIN)’로 불리는 크레디트를 구매하도록 강제하는 제도다. RFS 도입 초기에는 RIN 가격이 높지 않았지만 에탄올 혼합 비율 기준이 점차 높아지면서 RIN 구입비도 동반 상승했다. 필라델피아에너지가 지난해 RIN 매입을 위해 지출한 2억1,800만달러는 같은 기간 원유 수입·정제 전체에 들어가는 비용보다 규모가 컸다.

관련기사



필라델피아에너지의 파산을 계기로 미 정유 업계에서는 RFS를 수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바이오 연료 혼합을 위한 인프라 확보에 시간이 필요한 상황에서 RFS로 발생하는 비용을 감당할 수 없다는 것이다. 발레로에너지그룹 등 미 주요 정제 업체들은 지난해부터 트럼프 행정부에 규제 수정을 위한 로비를 벌이고 있다.

반면 환경보호론자들은 정유 업계가 저유가 장기화로 인한 경영 타격을 재생에너지 사업으로 타개하기보다는 규제 탓만 한다며 반박하고 있다.

변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