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중·소형 함정용 전자전 장비, 양산

함정 대공 방어력, 생존성 크게 늘어나

소형 함정의 함교탑에 설치돼 시험 운용 중인 ‘함정용 소형 전자전장비-2’ 안테나 시제품. 적의 레이더 전파나 유도탄 전자파를 감지, 경보를 발령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소형 함정의 함교탑에 설치돼 시험 운용 중인 ‘함정용 소형 전자전장비-2’ 안테나 시제품. 적의 레이더 전파나 유도탄 전자파를 감지, 경보를 발령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중·소형 함정에 탑재돼 레이더와 유도탄 전자파 신호를 탐지해 경보를 발령하는 장비가 양산된다.

방위사업청은 25일 경기 이천 소재 ㈜빅텍 회의실에서 ‘함정용 소형전자전장비-Ⅱ’의 양산사업 착수회의를 개최, 본격 양산을 위한 첫 단계에 들어섰다.

함정용 소형전자전장비-Ⅱ는 적의 레이더와 유도탄 가동 때 발생하는 전자파 신호를 실시간으로 탐지·분석·식별한 후 경보를 발령하는 장비다. 이 장비가 경보를 발령하면 함정에 탑재된 유도탄 대응체계(R-BOC)가 자동으로 가동되어 적의 위협으로부터 신속히 대응할 수 있게 된다. R-BOC는 다량의 은박지 또는 적외선을 방출해 적의 유도탄을 기만하는 방어체계이다.


이 장비는 중소기업인 빅텍이 2014년 신개념기술시범(ACTD)으로 개발했다. ACTD는 이미 성숙한 민간의 기술을 활용해 새로운 개념의 작전운용 능력을 갖춘 무기체계를 단기간에 개발하는 사업을 말한다.

관련기사



방사청은 “함정용 소형전자전장비-Ⅱ에서 탐지하는 정보를 해상작전 지휘통제체계인 해군전술자료처리체계(KNTDS)를 통해 주변 함정에 전파할 수 있다”면서 “우리 해군 함정의 생존성이 크게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기존 함정용 전자전 장비는 크고 무거워 중·소형 함정에 탑재하기 곤란했으나, 이번에 양산하는 함정용 소형전자전장비-Ⅱ는 안테나 등의 부품 경량화로 가볍게 제작됐다.

방사청은 “수입에 의존하던 핵심 부품을 국산화해 정비 비용과 시간을 절감, 전투준비 태세도 향상될 것”이라며 “해외 유사 성능의 장비와 비교해도 가격 경쟁력이 높아 수출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권홍우기자 hongw@sedaily.com

권홍우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