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현대제철 작년 영업이익 1조3,676억…전년比 5.4%↓

현대제철이 전년 대비 다소 주춤한 연간 실적을 발표했다. 자동차 강판을 납품하는 현대?기아차의 완성차 판매량이 줄어든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글로벌 철강 경기가 반등하고 재무구조 개선 작업이 효과를 내면서 실적 감소폭을 최소화했다.

현대제철은 26일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 19조1,660억원, 영업이익 1조3,676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액은 2016년 대비 14.8%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5.4% 감소했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철강 업황 개선 및 글로벌 프리미엄 제품 판매 증가와 지속적인 재무구조 개선 등에 힘입어 안정적인 경영실적을 거둘 수 있었다”며 “미국·중국 시장의 자동차 판매 감소에 따른 현지 스틸서비스센터의 실적 저하 등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다소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현대제철은 지난해 원료 부문의 구매 최적화와 고로 생산성 향상, 물류 최적화 등을 통해 계획대비 9.3% 개선된 4,707억원에 달하는 원가절감을 달성했다. 또한 지속적인 차입금 상환으로 부채비율을 지난해 89.9%에서 85.8%까지 감소시키는 등 재무구조 건전성을 강화하고 있다.

관련기사



한편 현대제철은 이날 발표에서 신규 투자 및 연구개발 현황 등 현재 추진하고 있는 주요 경영활동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마케팅 부문에서는 시장 맞춤형 강종 개발을 통해 오는 2020년까지 글로벌 자동차용 강판 공급을 120만톤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건설한 순천공장 No.3CGL은 오는 3월 상업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지난 2017년 상업생산을 개시한 당진 특수강 공장은 오는 2019년 100만톤 생산체제 완전 가동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아울러 경량소재 분야의 기술력을 강화를 위해 CFRP(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 선행 연구설비 구축 작업을 진행 중이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2018년 경영방침인기본에 충실한 변화, 함께 나누는 성장’을 바탕으로 올해 제품 판매 2,215만 톤의 목표를 달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제철의 2017년 판매 목표는 2,130만 톤이었다.

김우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