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금감원 "특혜채용 VIP리스트 존재" 은행 "청탁 없어...절차대로 뽑았다"

갈등격화...치열한 법리논쟁 예고

KEB하나은행과 KB국민은행이 채용에서 특혜를 주려고 한 해에만 각각 55명과 20명으로 된 ‘VIP 리스트’를 만든 것으로 알려지면서 금융감독원과 시중은행이 특혜채용을 놓고 진실공방을 벌이고 있다. 지난해 말 지배구조 문제를 놓고 당국과 금융사가 기 싸움을 벌인 데 이어 사실상 ‘제2라운드’에 접어든 모습이다. 은행들은 관리명단의 존재 가능성을 부인하지 않으면서도 민간의 재량 영역이라는 입장이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하나·국민·부산·광주·대구 등 5개 은행을 검찰에 수사 의뢰하면서 하나·국민은행의 특혜채용 리스트도 함께 넘긴 것으로 알려졌다. 하나은행 리스트에는 55명 이름이 들어 있다. 이들은 지난 2016년 공채에서 전원 서류전형을 통과했다. 시험 성적으로만 당락이 갈리는 필기전형을 거쳐 6명이 남았고 임원면접에서 전원 합격했다.


리스트에는 대부분 기본 인적사항과 추천자가 기재됐는데 추천자가 ‘사외이사’로만 기재돼 어느 회사의 사외이사인지 불분명한 경우였다. 하나금융 측은 “거래처의 사외이사”라고 설명했다. 하나금융 관계자는 “특정인을 청탁 받았거나 합격시키라는 지시를 받지 않았다”며 “은행에 적합한 인재를 선발하기 위한 민간 금융회사 재량의 영역”이라고 해명했다.

관련기사



국민은행에서는 20명의 이름이 담긴 리스트가 발견됐다. 이들 역시 2015년 공채에서 전원 서류전형을 통과했고 면접까지 가면 모두 합격했다. 이들 중 특혜가 의심되는 3명에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의 종손녀가 포함됐다. 금감원 관계자는 “리스트에서 최종합격자는 더 있는데 나머지는 비리로 단정하기 어려워 검찰에 규명해달라고 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KB금융 측은 ‘관리 리스트’는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양측이 물러서지 않으면서 진실공방이 계속되다 당국과 은행이 법정에 가서 얼굴을 붉히는 사태까지 벌어질 것으로 예상한다. 다만 당국으로서는 각 은행이 사전에 작성한 ‘VIP 리스트’는 확보했지만 청탁자와 특혜채용 지시 주체를 구체적으로 밝히지 못했기 때문에 검찰 조사에서 채용비리 혐의가 확인되지 않으면 오히려 역풍을 맞을 가능성이 있다.

황정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