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미래車 보조금·충전소 대폭 늘려달라"…제언 쏟아져

"충전소 전국 5곳뿐…확대 절실"

산업·학계 "컨트롤타워도 필요"

111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일 현대자동차의 자율주행 수소전기차를 시승하고 미래차 산업 발전에 대한 의지를 밝힌 후 자동차 업계의 제언이 쏟아지고 있다.


4일 자동차 업계와 자동차 관련 학계는 글로벌 미래차 경쟁에서 뒤떨어지지 않으려면 △친환경차 보조금 확대 △충전 인프라 대폭 확충 △민관을 아우르는 컨트롤타워 구성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전기차 보조금은 지난해 대당 1,400만원에서 올해 1,200만원으로 줄어들었다. 올해 전기차 수요가 5만여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정부의 지원 대수는 2만대에 머물러 있다. 수소차에 대한 올해 정부 보조 규모는 130대에 불과하다.


정부가 최근 “전기차 구매 보조금 조기 소진 시 추가 예산 확보를 추진하고 2022년까지 보조금 제도를 유지한다”고 밝혔지만 전기차 구매를 희망하는 고객들의 불만은 여전한 상황이다.

관련기사



현대자동차의 수소차 ‘넥쏘’가 자율주행 모드로 서울 요금소를 통과하고 있다. 현대차는 지난 2일 서울 만남의광장에서 강원도 평창 대관령TG에 이르는 고속도로 190㎞ 구간을 자율주행으로 주행하는 데 성공했다고 4일 밝혔다. /사진제공=현대차현대자동차의 수소차 ‘넥쏘’가 자율주행 모드로 서울 요금소를 통과하고 있다. 현대차는 지난 2일 서울 만남의광장에서 강원도 평창 대관령TG에 이르는 고속도로 190㎞ 구간을 자율주행으로 주행하는 데 성공했다고 4일 밝혔다. /사진제공=현대차


충전소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 전기차와 수소차 시대를 열기 위해선 충전 인프라가 가장 중요한데 여기에는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수소충전소는 전국에 10개소가 있지만 상업용으로 활용 가능한 충전소는 5기에 불과하다. 정부는 전기차 충전소도 매년 1,500기씩 설치해 오는 2022년까지 전국 주유소 수준인 1만기까지 확대하겠다고 했으나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충전소 개수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자동차 관련학계의 한 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2일 지원을 공언한 만큼 이번에는 미래차 산업을 제대로 육성해야 한다”면서 “특히 자동차산업 발전위원회가 정부 부처 간 협력을 이끌어 내고 기업·연구소·학계 등을 아우르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맹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