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채권

주식에서 채권으로 '셀코리아' 확산되나

한·미 금리역전 가능성 커져

외국인자금 엑소더스 불가피

0815A03 외국인 채권 순매수 규모


주식시장에서 외국인 자금 이탈이 거세지면서 채권시장에도 ‘셀 코리아’ 본격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미국 기준금리 인상이 속도감 있게 진행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한국과 미국 간 금리역전이 현실화되면 외국인 자금의 ‘엑소더스(대탈출)’를 피할 수 없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7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까지 채권시장에서 월별 평균 4조290억원씩 순매수를 보였던 외국인은 미국 기준금리 인상이 단행된 6월 이후 분위기가 돌변했다. 지난해 7월까지 월별 단 한 차례도 매도우위를 기록한 적이 없었던 외국인은 8월 500억원을 순매도했다. 지난해 미국 금리 인상이 가시화될 때마다 외국인은 국내 채권시장에서 철수했다. 미국의 추가적인 금리 인상 시그널이 강해진 9월에도 2조2,460억원을 내다 판 뒤 11월 1,350억원을 순매도했고 금리가 한 차례 더 인상된 12월 770억원의 매도우위를 보였다.


올해 들어 외국인은 원화 강세에 따른 스와프 포인트(선물환율-현물환율) 역전폭 확대에 따라 재정거래 유인이 증가하면서 지난달 7조1,380억원을 순매수했다. 그 덕에 다시 외국인 국내 채권 보유잔액은 100조원을 넘어섰지만 매수가 단기물에 집중했다는 점은 금리역전에 따른 부담감을 고스란히 노출했다. 이달에도 단기물 위주로 외국인은 1조2,500억원(6일 기준)을 사들였다.

관련기사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적어도 오는 3월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확인하기 전까지는 경계감이 완전히 해소되기는 어렵다”고 평가했다. 즉 한미 간 기준금리가 역전될 경우 만기가 짧은 채권에 투자한 외국인이 만기를 연장하지 않고 시장을 빠져나갈 가능성이 높다. 현재 연 1.5%인 한국 기준금리에 비해 미국은 연 1.25∼1.50%다. 미국의 금리 인상 횟수는 늘어날 가능성이 높은 반면 한국은 가계부채 부담으로 금리 인상을 쫓아가기도 쉽지 않은 형편이다.

특히 원·달러 환율 상승이 이런 분석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이날 조정이 됐지만 지난달 말 달러당 1,050원대까지 떨어졌던 환율은 약 2주 만에 급반등하며 1,084원에서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원·달러 환율 상승은 그만큼 원화가치의 하락을 의미하는 것으로 미국 기준금리가 한국보다 높아질 것이라는 가능성이 시장에 반영된 결과다. 이미 6일(현지시간) 미 국채 10년물은 2.803%로 국내 10년물 국고채 금리 2.718%(7일 기준)를 넘어선 상태다. 강 연구원은 “미국채 금리의 단기 고점을 확인하기 전까지는 10년물 국채의 순투자 전환은 쉽지 않은 상태”라며 “다만 중단기물 금리 조정은 선제적으로 진행돼 저가 매수세 유입이 확인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송종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