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반려견 키우는 4명중 1명 '알레르기' 경험…1위는 '치와와'

알레르기 증상으로 병원 방문한 경우는 절반 채 안돼

전문가 “알레르기 증상 나타날 시 병원 찾아야”

반려동물 품종별 알레르기 빈도./[길병원 제공=연합뉴스]반려동물 품종별 알레르기 빈도./[길병원 제공=연합뉴스]


국내 반려인 25%는 반려견에 의한 알레르기 증상을 경험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8일 이상표·이상민(가천대 길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양민석(서울대 보라매병원 알레르기내과) 교수 공동 연구팀은 반려동물 박람회에 참가한 537명의 반려동물 소유자를 대상으로 반려동물에 의한 알레르기 역학조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연구에서 반려동물에 의한 알레르기 경험 비율은 각각 반려견 25%, 반려묘 35%로 나타났다. 경험한 알레르기 증상은 주로 △콧물 △재채기 △피부가려움 △기침 △호흡곤란 등이었다.


반려견 중 치와와를 키우는 사람의 알레르기 증상 경험률(40%)이 가장 높았다. 이어 △요크셔테리어(38.3%) △말티즈(30.1%) △푸들(22.8%) △스피츠(20.8%) △시추(17.6%) 등으로 이어졌다. 고양이는 △페르시안(47.8%) △터키 앙고라(41.7%) △코리안 숏헤어(38.3%) △스코티시 폴드(26.7%) 순이었다.

관련기사



증상별로는 반려동물에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의 74∼80%가 △재채기 △콧물 △코막힘 △코가려움 등의 비염 증상을 갖고 있었다. 또 △눈가려움 △발적 △눈물 등 결막염 증상이 65∼73%로 뒤를 이었다. 그밖에 △가려움 △두드러기 △발적 등의 피부 증상을 가진 경우도 33∼55%에 달했다.

알레르기 증상으로 병원을 방문한 경우는 각각 35.3%와 24.4%에 그쳤다. 증상 완화를 위해 약을 처방받는 경우도 각각 19.6%와 11%에 불과했다. 이상표 교수는 “반려동물 접촉 후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났을 때는 병원을 찾아 적절할 약물치료를 받고, 심할 때는 적극적인 알레르기 면역요법을 고려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이 교수는 “알레르기 위험을 줄이려면 △이불세탁 △집안 청소 △털깎기 △털제거 등 실내 환경 관리에 신경 써야 한다”고도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알레르기천식면역연구’(Allergy Asthma Immunology Research) 1월호에 발표됐다. /홍태화인턴기자 taehwa@sedaily.com

홍태화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