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바이오 분야에서 ‘보안형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해 이를 신약과 헬스케어 서비스 개발에 활용하는 ‘스마트케어 4.0’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전국 병원에 축적된 방대한 환자정보에서 개인정보를 제거한 뒤 신약 개발 등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에 활용하겠다는 복안이다. 이를 통해 현재 1.8%에 불과한 세계 시장 점유율을 2022년까지 4.0%로 확대하고 일자리 3만5,000개를 창출하겠다는 게 정부의 목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9일 강원도 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에서 ‘바이오·헬스 업계 간담회’를 하고 이 같은 내용의 ‘바이오·헬스 산업 발전전략’을 발표했다.
우선 산업부는 올해 상반기 6개 병원을 선정해 약 1,000만명의 전자의무기록·유전체·생체정보를 담은 ‘보안형 바이오 빅데이터’ 기반의 표준 플랫폼 구축 사업을 추진한다. 빅데이터는 신약 개발과 주요 질병 예측 등에 사용된다. 백운규 산업부 장관은 “우리나라는 세계적 수준의 바이오 데이터를 갖고 있다”며 “구축된 빅데이터는 신약 후보물질 발굴과 주요 질병 예측 등에 사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바이오 산업을 자동차, 통신, 정보기술(IT), 화장품 등 다른 산업과 융합해 새로운 헬스케어 서비스를 창출하는 방안도 모색한다. 예를 들어 자동차가 운전자의 건강 상태를 감시하다 이상 징후가 감지되면 경보를 울리거나 119에 연락하는 기능을 차에 탑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0년부터 ‘규제 샌드박스’ 내에서 개인건강정보·날씨·환경 등 모든 생활정보를 활용한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헬스케어 스마트시티’ 시범사업이 추진된다.
산업부 관계자는 “정부는 세계적인 수준의 혁신 신약 개발을 위한 ‘글로벌 바이오스타’ 프로젝트를 추진, 기업의 신약 연구개발과 사업화, 해외 진출 등도 지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