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자국민 가두고 굶기는 정권"...탈북자 만나 北 비난한 펜스

웜비어 부친·'목발 탈북' 지성호씨와 평택 2함대 방문

마이크 펜스(가운데) 미국 부통령이 9일 경기도 평택시 해군2함대에서 탈북자와 면담하고 있다. 펜스 부통령은 북한에 대해 “자국민을 가두고 굶주리게 하는 정권”이라고 비난했다. /사진공동취재단마이크 펜스(가운데) 미국 부통령이 9일 경기도 평택시 해군2함대에서 탈북자와 면담하고 있다. 펜스 부통령은 북한에 대해 “자국민을 가두고 굶주리게 하는 정권”이라고 비난했다. /사진공동취재단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이 9일 연평해전·천안함 전사자 추모 현장에서 탈북자들을 직접 만나 “북한 폭정 피해자인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으러 왔고 전 세계가 듣기를 바란다”며 “자유를 위해 싸운 데 대해 미국인들은 마음을 같이한다”고 강조했다.

평창동계올림픽 미국 대표단을 이끌고 지난 8일 방한한 펜스 미 부통령 부부는 이날 개막식 참석에 앞서 경기도 평택의 해군2함대 사령부를 먼저 찾았다. 평택 2함대 사령부에는 연평해전 등 서해 수호를 위해 북한과 싸우다 희생된 장병을 기리는 추모시설인 서해수호관과 북한의 어뢰 공격으로 침몰한 천안함 기념관 등이 있다.


펜스 부통령의 평택 일정에는 북한에 억류됐다 의식불명 상태로 미국에 송환된 후 결국 사망한 미국 대학생 오토 웜비어의 아버지 프레드 웜비어씨가 동행했다. 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연두교서에 목발을 들고 등장했던 지성호씨를 비롯해 탈북자 4명이 함께했다. 남북 대치 상황을 여실히 보여주는 군사 현장에서 북한 정권의 피해자들과 함께함으로써 “리본 자르러 가는 게 아니다. 모든 방문지에서 북한의 진실을 알리겠다”던 대북 압박 예고를 그대로 실행한 것이다.

관련기사



35분 가까이 진행된 탈북자와의 면담 내내 펜스 부통령의 표정은 굳어 있었다. 그는 “북한 폭정에서 탈출한 남성과 여성을 만나 영광”이라며 “(여러분들은 ) 여전히 자유를 갈구하는 수백만 명의 북한 사람들을 대변한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에는 포로수용소가 있고 북한 사람 70% 이상이 식량 지원 없이는 생존을 못하고 아이들은 영양실조로 고통을 받는다”고 북한 참상을 지적했다.

펜스 부통령은 북한의 평창 참가와 방남 등 유화적인 행보에 대해서도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펜스 부통령은 “오늘 밤 전 세계가 북한의 ‘매력 공세(a charm offensive)’를 보게 될 것”이라며 “하지만 이들(탈북자들)의 증언처럼 북한은 자국 시민을 가두고, 고문하고, 굶기는 정권”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여러분들이 증언한 진실이 전 세계에 알려질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면담장에서 만난 꽃제비 출신 탈북자 지성호씨와 프레드 웜비어씨는 서로 껴안고 위로하기도 했다. 이 모습을 지켜본 알리사 파라 부통령 대변인은 트위터에 현장 사진과 함께 “감동적이면서도 가슴 아픈 순간. 전 세계는 북한 정권이 범한 잔학행위를 잊을 수 없다”는 글을 남겼다. 또 펜스 부통령의 부인인 캐런 여사는 여성 탈북자인 김혜숙씨가 증언할 때 옆에서 손을 잡아주기도 했다. 김씨는 “28년 동안 수감돼 있다 살아나왔다”며 “국경경비대 군인들이 중국에 나를 팔아넘겼고 브로커를 통해 한국으로 왔다”고 가슴 아픈 사연을 전했다.

한편 펜스 부통령은 면담에 앞서 2함대 사령부 내 서해수호관을 방문해 1층 ‘북방한계선(NLL)과 해전실’에서 김록현 서해수호관 관장으로부터 1·2차 연평해전과 대청해전, 천안함 피격, 연평도 포격 등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탈북자 면담 후에는 천안함 기념관도 방문했다. 평택 현장에는 빈센트 브룩스 한미연합사령관 겸 주한미군사령관, 김병주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이종호 해군2함대 사령관, 마크 내퍼 주한 미국대사대리 등도 동행했다. /평택=외교부공동취재단·정영현기자 yhchung@sedaily.com

정영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