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30석·원내 3당 '바른미래당' 첫발

■ 13일 통합전대 열고 공식 출범

유승민 "독배 마시겠다" 공동대표직 사실상 수락

국민의당선 박주선 유력.. 安, 선대위원장 맡을듯

강령·공천권 등 진통 커 완전한 결합까지는 험로

안철수(왼쪽) 국민의당 대표와 유승민 바른정당 대표가 12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바른미래당 추진위원회 국회의원 합동 연석회의에서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안철수(왼쪽) 국민의당 대표와 유승민 바른정당 대표가 12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바른미래당 추진위원회 국회의원 합동 연석회의에서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이 13일 통합전당대회를 열어 ‘바른미래당’으로 공식 출범한다. 30석(국민의당 21석, 바른정당 9석)의 원내 3당으로 출발하는 바른미래당은 공동대표 체제로 출범 초 당의 안정감을 꾀하며 발 빠르게 지방선거 체제로 돌입할 예정이다. 다만 당의 강령이나 지방선거 공천권을 둘러싼 양측의 샅바 싸움이 치열해 ‘완전한 화학적 결합’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바른미래당의 초대 대표는 국민·바른 양측에서 한 명씩 내세운 공동대표 체제가 확실시되고 있다. 바른정당에서는 유승민 대표가 이미 공동대표직을 맡겠다고 밝혔고 국민의당에서는 박주선 국회 부의장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유 대표는 12일 국회에서 열린 바른정당 최고위원·국회의원 연석회의에 참석해 “바른미래당 공동대표를 맡아 지방선거를 책임지고 치르겠다”며 “쉽지 않은 선거임을 잘 알지만 독배를 마시겠다”고 말했다. 공동대표직에 대한 사실상 수락인 셈이다. 유 대표는 다만 “지방선거 결과와 관계없이 선거 직후 공동대표에서 사퇴하겠다”고 기한을 못 박았다. 국민의당에서는 박 부의장의 공동대표 추대가 점쳐지고 있다. 호남계인 박 부의장에게 공동대표를 맡겨 통합 과정에서 등을 돌린 지역 민심을 달래겠다는 전략도 담겨 있다는 해석이다.


통합 후 백의종군을 선언한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는 지방선거 선대위원장을 맡을 가능성이 크다. 안 대표는 그동안 “직에 상관없이 지방선거를 전면에서 돕겠다”고 밝혀왔다. 그는 이날 기자간담회를 열어 “통합 완성까지가 대표로서의 역할이고, 선거 승리나 통합당의 미래를 위한 또 다른 역할이 주어지면 열심히 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정치권에서는 안 대표가 대표직만 맡지 않을 뿐 당내 주요 의사결정에 직간접적으로 개입할 수밖에 없다고 보고 있다.

관련기사



두 개의 정당이 하나가 되는 만큼 출범 초기 견해차로 인한 마찰도 배제할 수 없다. 최근 통합당 로고 색상을 두고 갈등을 빚은 바 있는 두 당은 국민의당이 최근 진행한 전국 66개 지역 당협위원장 공모로 또 충돌했다. 공모 대상에 바른정당 지상욱·정운천 의원이 위원장으로 있는 지역이 포함됐기 때문이다. 당협위원장이 지역구의 기초의원 후보 공천권을 쥐고 있는 만큼 유 대표는 안 대표에게 ‘민감한 시기에 지역위원장을 선정하는 것은 오해 살 여지가 있다’는 의견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정강정책 합의가 막바지에 이르면서 핵심 문구나 표현을 둘러싼 잡음도 이어지고 있다.

안 대표와 유 대표는 이런 상황을 고려한 듯 이날 개최한 양당 의원 합동 연석회의에서 화합을 강조했다. 안 대표는 “같은 방향을 보고 만났어도 서로 싸우지만 그것을 통해 더 단단해지는 것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유 대표도 “신혼 때는 특히 사이가 좋아야 한다”며 “서로의 입장을 배려하면서 어려움을 극복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송주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