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평창올림픽 스키장' 가리왕산 복원 난망…"광범위한 훼손"

산림청, 강원도 제출 복원계획 반려…환경단체 비판

가리왕산 스키장 남자 활강 슬로프/녹색연합 제공=연합뉴스가리왕산 스키장 남자 활강 슬로프/녹색연합 제공=연합뉴스


평창 동계올림픽의 알파인 경기가 열리는 가리왕산 스키장 복원에 ‘비상등’이 켜졌다. 강원도가 내놓은 복원계획은 반려됐고, 복원 전담 기구나 조직조차 만들어지지 않았다.

21일 녹색연합과 산림청 등에 따르면 산림청 중앙산지위원회는 지난달 26일 강원도가 제출한 가리왕산 복원계획을 심의한 후 지난 7일 반려했다. 복원 모니터링 범위를 확대하고, 비탈면 토사 유출 발생 우려 지역의 방지 계획을 수립하는 등 전반적인 보완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였다.

박두식 산림청 사무관은 “강원도는 애초 50년에 걸쳐 477억 원을 들여 가리왕산을 복원하기로 했다”면서 “하지만 복원계획에 가리왕산만의 특수성을 반영하고, 목표 설정을 좀 더 명확히 해야 할 필요성이 있어 계획이 반려됐다”고 설명했다.


가리왕산은 생태적 가치가 높아 산림청에서 2008년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으로 지정한 곳이다. 복원을 조건으로 2013년 일부 보호구역을 해제해 스키장을 세웠지만, 환경단체들에 따르면 복원이 어려울 정도로 광범위한 훼손이 일어났다.

관련기사



서재철 녹색연합 전문위원은 “가리왕산 스키장 건설 과정에서 복구·복원계획은 철저히 외면된 채 불필요한 훼손이 일어났다”면서 “공사 편의를 위해 작업용 도로를 통상의 3배 가까이 넓게 내면서 복원이 더욱 어려워졌다”고 지적했다. 녹색연합에 따르면 스키 슬로프 공사로 인해 슬로프 주변 지역의 활엽수가 뿌리째 뽑혀 쓰러지는 현상이 2016년 말부터 관찰됐다.

서 전문위원은 또 “가리왕산 스키장에서 전나무·분비나무·주목 등 272그루를 이식했는데, 대부분 활력을 잃고 죽어가고 있다”면서 “이식한 수목에 대한 개체별 관리가 이뤄지지 않은 데다 관리대장도 형식적으로 유지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 모든 것이 환경부의 환경영향평가와 산림청의 산지전용협의가 부실하게 이뤄지고, 두 부처가 스키장 훼손에 대한 이해 없이 꼼꼼하게 공사 관리를 하지 않은 탓에 벌어졌다”며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여러 도시로 나눠 대회를 개최해도 된다고까지 했지만, 우리는 굳이 강원도만을 고집한 끝에 가리왕산을 훼손했다”고 비판했다.

/박신영인턴기자 wtigre@sedaily.com

박신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