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천안함 폭침 질문에 김영철 "..."

한국 취재진에 눈길도 안줘

숙소 호텔 도착때까지 침묵

천안함 폭침을 주도한 것으로 알려진 김영철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은 25일 관련된 질문에 굳은 얼굴로 침묵을 지켰다.

단장인 김 부위원장과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 수행원 6명 등 8명으로 구성된 북한 고위급대표단은 이날 오전 평창동계올림픽 폐막식 참석을 위해 경의선 육로를 통해 방남했다. 9시49분께 군사분계선(MDL)을 넘은 이들은 9시53분께 경기도 파주 도라산 남북출입사무소(CIQ)에 도착했다.


김 부위원장은 ‘천안함에 대해 어떤 생각이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굳은 얼굴로 묵묵부답했다. 방남 소감이나 한국에서 어떤 이야기를 나눌 것인지 묻는 취재진에 그는 눈길도 주지 않았다.

관련기사



이들은 자유한국당 의원 등이 김 부위원장의 방남 저지를 위해 점거 농성을 벌이고 있는 통일대교를 피해 통일대교 동쪽에 있는 전진교를 통과해 이동했다.

김 부위원장은 북한 고위급대표단의 숙소인 서울의 한 호텔에 도착해서도 침묵을 지켰다. 취재진이 ‘천안함 폭침이 북한 소행이라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물었으나 김 부위원장은 답하지 않은 채 호텔로 들어갔다. 김 부위원장은 지난 2010년 발생한 천안함 사건의 배후로 지목돼왔다. 정부는 천안함 폭침이 북한 소행인 것은 맞지만 김 부위원장이 주도했다고 단정할 수 없다고 옹호하고 있다.

북한 고위급대표단에는 최강일 외무성 북아메리카국 부국장 또한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김성혜 통일전선부 통전책략실장도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김 실장은 개회식 때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특사인 김여정 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을 밀착 수행한 바 있다. 이밖에 통전부 참사로 알려진 리현과 김명국·김주성·조봄순 등 총 6명이 폐회식 고위급대표단에 포함됐다. 이 중에는 북한의 통역사 역할을 하는 인원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파주=공동취재단 박효정기자 jpark@sedaily.com

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