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27일 발표한 2016년 공공부문 일자리 통계를 보면 공공일자리에서 근속기간 20년이 넘는 근로자는 54만9,000명으로 전체 23.2%에 이르렀다. 정부 부처나 공공기관에서 일하는 근로자 4명 중 1명은 20년 이상 장기 근속자라는 얘기다. 2015년보다도 1만명(0.1%포인트)이 늘었다. 10년 이상으로 범위를 넓히면 이 비중은 45.0%까지 커진다.
공무원은 고용안전성이 더 크다. 2016년 공무원의 20년 이상 근속자 비중은 34.5%, 10년 이상은 62.4%에 달했다.
공공부문의 긴 근속기간은 민간과 비교하면 극명하게 드러난다. 민간 일자리 중 20년 이상 근속자는 7.0%에 그친다. 10년 이상도 19.2%다. 공공부문 일자리 중 2015년과 2016년에 동일한 근로자가 점유한 지속일자리는 204만개로 전체 86.2%였다. 역시 민간(66.3%)보다 크게 높다.
웬만하면 이직이 없는 공공부문 일자리 특성은 해당 근로자에겐 장점이지만 정부로선 부담스러운 측면도 있다. 한 번 뽑으면 수십 년간 재정 부담이 들기 때문이다. 임기 내 공공부문 일자리를 81만개 늘리겠다는 문재인 정부 목표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정부 목표 81만개는 연간으로 계산하면 16만2,000명으로 2016년 증가분 2만9,000명의 5.6배에 이른다.
한편 2016년 공공부문 전체 일자리는 236만5,000명으로 총 취업자의 8.9%를 차지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 18.1%를 크게 밑도는 수치인데 OECD 국가들과 우리나라의 공공부문 일자리 집계 기준이 상이해 단순 비교하긴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
/세종=서민준기자 morandol@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