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 생활인구 가장 많은 곳은 강남3구

市, KT빅데이터 활용해 모델 개발

비거주 서울 출퇴근 최대 165만명

0515A30 생활인구상위하위


빅데이터 분석 결과 서울시에서 생활인구가 가장 많은 곳은 ‘강남 3구’(강남·송파·서초)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에 살지 않으면서 출근이나 통학을 이유로 서울에서 생활하는 사람은 최대 165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시는 대중교통 이용·인구·사업체 통계 등 시가 보유하고 있는 행정정보와 KT의 통신 빅데이터를 10개월간 공동연구한 결과 이 같은 ‘서울 생활인구’ 인구모델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생활인구는 KT의 휴대전화 통신을 기반으로 기지국별 인구를 집계해 전체 인구를 추정하고, 서울시 교통 이용 통계 등 공공데이터를 활용해 서울 시내 1만9,000여개 집계 단위별로 1시간 인구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산출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서울에서 사실상 생활하는 인구로 서울시의 행정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모든 인구”고 생활인구의 개념을 설명했다.


조사 결과 서울시에서 생활인구가 가장 많은 자치구는 강남구(85만명)·송파구(77만명)·서초구(62만명) 순이었다. 주민등록인구 기준으로는 송파구(67만명)·강서구(61만명)·강남구(56만명) 순으로 차이가 컸다. 강남 3구에는 주요 기업들과 유흥가, 학원가 등이 밀집해 실제 거주하는 인구에 비해 생활인구가 훨씬 많은 것으로 분석된다.

관련기사



서울이 아닌 지역에 주거하면서 실제 생활은 서울에서 하는 인구는 최대 165만명으로 집계됐다. 서울 외곽의 위성도시에 살면서 직장이나 학교는 서울로 다니는 경우다. 경기(78.6%)와 인천(10.5%)이 90% 가량을 차지했고, 시·군별로는 고양시(15만명)·성남시(14만명)·부천시(12만명)·남양주시(11만명) 순이었다.

외국인은 총 62만명으로 관광이나 사업목적으로 90일 이하 단기 체류 하는 외국인은 20만명으로 조사됐다. 영등포·구로·광진구에 장기체류외국인이 많았고 중·강남·마포구는 관광목적 등의 사유로 단기 방문한 외국인이 집중됐다. 장기체류자는 외국인등록증으로 KT에 가입한 외국인이며, 단기체류자는 로밍 서비스 사용자로 구분했다.

서울 전체 생활인구는 평균 1,151만명으로 주민등록기준 1,013만명 보다 138만명 더 많았다. 평일이 1,175만명으로 주말 1,139만명 보다 36만명 더 많았다. 다만 홍대 앞은 금요일에서 일요일까지 밤늦도록 20대 생활인구가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최수문기자 chsm@sedaily.com

김민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