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연령제한 폐지해도 30대 신규 취업인원 줄어 '늦깍이 경쟁 돌파 난해'

공무원이나 공기업 직원 채용에서 연령제한을 폐지했음에도 30대 구직자가 신규 취업하는 사례는 오히려 줄어 들었다.

통계청의 일자리 행정통계에 따르면 중앙 정부·지방 정부·공공비영리단체·사회보장기금·공기업 등 공공부문에 신규 채용된 30대 구직자는 2015년보다 2016년에 인원수와 비율 모두 줄었다.

이들 공공부문에 새로 채용된 30대 취업 준비생 규모는 2014년 12월∼2015년 12월에는 7만3천 명이었는데 2015년 12월∼2016년 12월에는 6만3천 명으로 1만 명(13.8%) 줄었다. 이 기간 공공부문 전체 신규취업자 가운데 30대가 차지하는 비중은 22.9%에서 19.4%로 줄어 들었다.


40대와 50대 구직자 역시 공공부문 신규 일자리를 차지하는 비중이 축소됐다. 같은 기간 공공부문 40대 신규취업자 수는 5만 명에서 4만4천 명으로 13.2% 줄었고, 50대 신규취업자는 3만6천 명에서 3만3천 명으로 6.8% 줄었다. 이들이 공공부문 신규 일자리를 차지하는 비율은 15.8%에서 13.5%로, 11.2%에서 10.2%로 각각 축소됐다.

관련기사



대신 29세 이하 취업 준비생이나 60세 이상 구직자의 공공부문 신규 취업이 눈에 띄게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공공부문의 29세 이하 신규취업자는 11만6천 명에서 13만3천 명으로 15.0% 늘었고, 60세 이상 신규취업자는 4만4천 명에서 5만2천 명으로 18.6% 늘었다. 이에 따라 이들 연령대가 전체 신규취업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6.3%에서 40.9%로 13.8%에서 16.0%로 각각 늘어났다..

공공부문이 연령제한을 폐지했음에도 조사 대상 기간 늦깎이 구직자인 30대가 20대와 경쟁하며 공공부문 취업 문을 돌파하기는 쉽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60대 이상의 신규취업자의 경우 퇴직 후 눈높이를 낮춰 재취업한 이들이 상당수 포함됐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