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대우조선 노조 임금인상 추진] 혈세로 버티면서 '제 몫 챙기기' 급급

작년 3분기까지 연속 흑자도

정부 추가 공적자금 투입덕분

기업 존속여부도 불확실한데

"임금인상 추진 이기적" 비판도

수조원의 공적자금을 투입하고도 기업 존속 여부마저 불확실한 대우조선 노조가 임금인상을 추진하면서 논란이 거세다. 국민 혈세로 겨우 살아나고 있는 상황에서 업황 반등의 기미가 보인다고 노조가 고통 분담에서 제 몫 챙기기로 돌변했기 때문이다.

대우조선은 최근 조금씩 실적이 개선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부활을 예단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실제 실적도 들쑥날쑥하다. 12일 대우조선은 지난해 영업이익 7,330억원을 기록해 흑자전환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매출액은 전년 대비 13.4% 감소한 11조1,018억원이었고, 작년 4·4분기 영업이익은 적자였다. 지난해 1분기부터 3분기까지 연속 흑자도 정부가 2조 9,000억원에 달하는 추가 공적 자금을 투입한 덕분이다.

1315A13 대우조선





2015년부터 진행중인 자구계획도 이제 겨우 절반 정도 달성한 상태다. 대우조선은 2020년까지 5조 9,000억원의 자구계획 목표를 세웠으며, 작년 말까지 자산매각, 인건비 절감 등을 통해 2조 8,000억원을 이뤘다. 올해도 국내 부동산과 해외 자회사 매각 등을 통해 1조 3,000억원을 채워야 한다. 이런 탓에 채권단인 산업은행과 경영진은 작년 말에 끝난 임금반납을 다시 추진하는 것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특히 현대중공업(009540)삼성중공업(010140)이 유상증자를 통해 생존을 모색하는 것과 달리 대우조선은 자체적으로 자금을 조달 할 수 없다. 자구 노력중인 현대중공업은 2014년, 삼성중공업은 2016년부터 임금을 동결하고 있으며, 올해도 임금 인상이 쉽지 않다는 관측이다. 조선업계의 한 관계자는 “2016~2017년 수주 절벽으로 올해 실적이 가장 안 좋을 것으로 예상돼 임금인상을 부담스러워 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실제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은 올해 적자가 예상된다고 밝힌 바 있다.

아울러 지금까지 대우조선을 살리는 과정에서 하청업체들의 수많은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잃었다. 대우조선 노조의 임금인상 추진이 이기적이라는 비판이 나오는 배경이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국책기관에서 세금으로 지원받고 있는 기업들이 정상적인 회사까지 위협하고 있는 상황이 문제”라며 “(업황이 어려워) 정상적인 회사들도 구조조정하고 있는 판에 생존마저 불확실한 회사가 임금을 올리는 것은 맞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최근 상황이 일부 나아졌지만 여전히 존속이 불확실하기 때문에 비용 구조를 악화시킬 수 있는 것은 최소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채권단도 부정적인 입장이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임금인상을 할 시기가 아니라는 걸 회사에서도 알고 있기 때문에 합리적으로 판단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대우조선 측은 “이번에 노조의 임금인상은 최종안은 아니다”라며 “회사 정상화 과정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조율할 것”이라고 말했다.

고병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