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포항 제철공정 때 발생한 가스, 울산 석화공단서 쓰는 날 온다

에너지 교환망 구축 땐

산업경쟁력 강화에 도움

총 사업비 1,100억 전망

포항의 제철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생가스를 울산의 석유화학공단에서 사용하는 방안이 현실화될 전망이다.

울산시는 13일 시청에서 ‘울산-포항 에너지·원료 자원조사 및 교환망 구축 타당성 조사’ 최종 보고회를 열었다.


해오름 동맹(울산·경주·포항) 공동사업으로 진행된 이번 용역은 1년간 양 도시의 산업단지에서 발생하는 부생가스 수요조사, 배관망 설계, 경제성 분석 등을 진행했다.

먼저 포항의 제철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생가스 중 일산화탄소(CO)와 수소(H2)는 현재 대부분 단순 연료로 사용하고 있다. 반면 석유화학 공정에서 일산화탄소는 초산·폴리우레탄 제조에 쓰인다. 수소는 고급휘발유 촉매와 수소연료전지의 에너지원으로 쓰일 수 있어 포항·울산 간 교환망 구성을 통해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주요 자원으로 검토됐다.


잠재 수요처로 일산화탄소는 롯데BP화학, 수소는 SK·S-OIL 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수소 수요량은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관련기사



포항에서 발생하는 부생가스를 울산 석유화학단지에 공급하기 위한 원료 교환망 건립에는 연장 약 70㎞의 파이프라인 구축이 필요하며 정제시설 및 압축기 설치비용 등을 포함할 경우 사업비는 1,100억원이 드는 것으로 산정됐다.

이에 따른 사업 수익성을 분석한 결과 이후 유가 상승 시 사업 경제성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온실가스 감축, 수소 사회 도래 등 글로벌 에너지 정책 변화에 따른 수요 변화가 실현 시기를 더욱 당길 수 있다는 분석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울산의 석유화학 산업과 포항의 철강 산업은 에너지·자원의 수급 측면에서 시너지효과가 높은 산업군”이라며 “이번에 조사된 울산·포항 간 부생가스의 수요 공급 분석을 시작으로 양 도시의 산업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는 방향을 지속해서 연구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울산=장지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