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카카오택시, 수수료 내면 빨리 잡힌다…수익화 본격 시동

'우선 호출·즉시 배차' 도입…"수수료는 운임과 무관해 법적 문제 없어"

13일 오전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2018 카카오모빌리티 미디어데이에 정주환 카카오모빌리티 대표가 프레젠테이션을 하고 있다./연합뉴스13일 오전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2018 카카오모빌리티 미디어데이에 정주환 카카오모빌리티 대표가 프레젠테이션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모바일 택시 호출 서비스 ‘카카오택시’가 운임 외에 별도의 수수료를 내면 더 빨리 잡히는 기능을 도입하며 본격적인 수익화에 시동을 건다.

정주환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는 13일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연 기자간담회에서 현재의 무료 택시 호출에서 ‘우선 호출’과 ‘즉시 배차’ 기능을 추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우선 호출’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배차 성공 확률이 높은 택시를 먼저 호출하는 방식이고, ‘즉시 배차’는 인근의 빈 택시를 바로 잡아주는 기능이다. 두 방식 모두 운임 외에 추가 수수료를 내야 한다. 정 대표는 택시 미터기 외에 추가 요금을 금지한 현행법에 저촉되는 것이 아니냐는 질문에 “플랫폼 기능에 대한 수수료라 운임과 무관하다”며 “국토교통부에서도 합법적이란 의견을 받았다”고 답했다. 추가 요금은 운행 실적·평가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현금성 포인트로 택시 기사에 돌려준다. 수수료가 없는 일반 호출도 포인트 산정 기준에 포함해 무료 콜 기피 현상을 막을 방침이다.

관련기사



카카오모빌리티는 택시 공급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카풀 업체를 인수해 카풀 서비스도 준비하고 있다. 지난 2년간 택시 호출은 2.5배 늘어났지만, 활동 기사 수는 1.4배 증가하는 데 그치며 수급 불균형이 심각하다는 판단에서다. 정 대표는 “택시 수요와 공급의 차이가 출퇴근, 심야 시간이나 도심 지역에서 발생하는 택시 승차난의 근본적 원인”이라며 “특히 2013년 이후 운행 택시 수가 줄어들면서 수요-공급 격차는 가중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카카오택시를 불러도 안 잡힐 때 카풀로 넘어가는 방식으로 이르면 올해 2분기 안에 서비스를 내놓을 계획이다. 이에 법적 문제나 택시 업계의 반발 등에 대해선 “현행법상 출퇴근 시간의 카풀 유상운송행위가 예외조항으로 허용된 만큼 합법적 테두리 안에서 운영하려 한다”며 “다양한 택시 업계와도 지속해서 얘기를 나누고 있다”고 정 대표는 설명했다.

아울러 올해 하반기부터 일본 ‘재팬 택시’와의 협력을 통해 한국과 일본 양국에 택시 호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며, 지난해 투자한 ‘이지식스코리아’를 통해 국내 이용자가 홍콩·대만·동남아 지역에 방문했을 때 현지 이동 수단을 연결해주는 사업도 연내 시작한다. 이 밖에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해 원하는 일시의 교통 정보를 미리 볼 수 있는 기능 등을 강화하고,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도 박차를 가한다. 교통 분야 스타트업들에 대한 투자 및 인수도 꾸준히 이어갈 계획이다. /박신영인턴기자 wtigre@sedaily.com

박신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