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돈 더 내면 택시 빨리 탄다

부분 유료화되는 카카오택시

'즉시 배차' 등 2분기 도입

사용료 2,000원 이상 될 듯

정주환 카카오모빌리티 대표가 13일 서울 중구 더 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사업 방향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정주환 카카오모빌리티 대표가 13일 서울 중구 더 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사업 방향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모바일 기반 택시 호출 서비스 카카오택시가 ‘택시 잡기 전쟁’의 해결 방안으로 결국 ‘수수료’를 꺼내 들었다. 운임 외에 별도의 플랫폼(기반 서비스) 사용료를 내는 방식으로 즉시 택시를 부를 수 있도록 부분 유료화 정책을 도입하기로 했다.


정주환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는 13일 서울 중구 더 플라자 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우선 호출’과 ‘즉시 배차’ 등 유료 택시 호출 기능을 올해 2·4분기 안에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그동안 카카오모빌리티는 택시 호출 서비스를 소수의 ‘고급형(카카오블랙)’ 외에 무료로 운영했으나 배차 확률을 높이기 위해 사용자가 돈을 더 내는 방식으로 구조를 바꾸기로 했다. 이번에 도입되는 우선 호출 기능은 출발·목적지와 도로 환경 등을 반영한 인공지능(AI) 기반 분석을 통해 배차 성공 확률이 높은 택시를 먼저 호출하는 방식이다. 즉시 배차는 우선 호출에서 더 나아가 주변의 빈 택시를 100% 확률로 잡아주는 기능이다. 이 같은 유료 서비스의 사용료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으나 택시 기사가 호출을 거부할 수 없는 즉시 배차는 심야 기준으로 2,000원보다 높게 책정될 예정이다. 요금은 거리와 상관없이 건당 부과된다.


정 대표는 “택시 미터기 외에 추가 요금을 받는 것이 아니라 카카오T 플랫폼 기능 사용료를 내는 것이어서 현행법을 위반하지 않는다”면서 “국토교통부에서도 합법적인 사업 모델이라는 의견을 받은 상태”라고 설명했다. 카카오T가 받은 수수료는 택시 기사에 바로 배분해주는 것이 아니라 운행 실적과 사용자 평가 등을 반영해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는 ‘포인트’로 돌려준다.

관련기사



다만 부분 유료화가 진행되면 기사가 무료 택시 호출을 기피할 것이라는 우려도 만만치 않다. 정 대표는 “일반 무료 택시 호출 건도 포인트 지급 기준에 들어가기 때문에 동기 부여가 될 것”이라면서 “앞으로 신규 서비스 과정에서 계속 (부작용을) 보완하겠다”고 답했다.

아울러 카카오모빌리티는 출·퇴근시간대 택시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카풀(승차 공유) 서비스를 연계하는 기능을 연내 출시하기로 했다. 택시를 호출해도 잡히지 않을 때는 바로 카풀로 넘어가는 방식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이를 위해 지난달 카풀 업체 ‘럭시’를 인수했다.

또 이르면 올해 하반기부터는 일본·홍콩 등 해외에서도 카카오T 앱으로 택시와 리무진을 부를 수 있다. ‘재팬 택시’와의 협업을 통해 올해 하반기부터 일본 여행 중에도 카카오T로 현지 택시를 호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홍콩과 대만, 베트남 지역에서는 여러 사람이 같이 리무진을 탈 수 있는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이다.

지민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