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대기업엔 붙어 있고 중소기업은 짐싸고… 이직률 격차 역대 최대

2010년 0.7%p→2017년 2.2%p…이직률 중기 5.0% vs 대기업 2.8%

연봉격차 외에도 장시간 노동· 전문 훈련 부족·미래 불안 등 때문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청년일자리 대책 보고대회 및 제5차 일자리위원회 회의에서 각 부 장관들의 청년 일자리 대책 보고를 듣고 참석한 청년들과 함께 박수를 치고 있다./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청년일자리 대책 보고대회 및 제5차 일자리위원회 회의에서 각 부 장관들의 청년 일자리 대책 보고를 듣고 참석한 청년들과 함께 박수를 치고 있다./연합뉴스



지난해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이직률 격차가 역대 최대로 벌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대기업에 취직한 근로자는 가능한 회사를 나가지 않으려는 반면 중소기업 근로자는 자발적 또는 비자발적으로 짐을 싸는 사례가 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중소기업이 연봉은 물론 노동시간, 전문적인 교육, 비인격적인 대우 등 전반적인 근로환경이 열악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정부가 최근 중소기업 취업자에 대해 1,000만원 가량의 소득을 보전해주기로 했지만 근로환경 개선이 동반되지 않을 경우 실효성을 거두기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25일 고용노동부의 사업체 노동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300인 미만 사업체인 중소기업의 이직률은 5.0%에 이르렀다. 이는 2012년 5.4% 이후 5년 만에 최고치다. 중소기업의 이직률은 2013년 4.8%, 2014년 4.9%, 2015년 4.4%로 하락 추세였다가 지난해 다시 5%대로 진입했다. 지난해 중소기업 이직자 69만5,339명 중 자발적 이직자는 39.7%인 27만6,664명, 비자발적 이직자는 54.2%인 37만7,145명으로, 비자발적 이직자가 자발적 이직자보다 많았다.


반면 300인 이상 사업체인 대기업의 이직률은 2.8%로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0년 이후 최저치로 급락했다. 대기업의 이직률은 2011년 4.4% 정점을 찍었다가 점점 하락해 2013년 3%대로 내려갔다가 지난해 처음으로 2%대로 떨어졌다. 이에 따라 중소기업과 대기업간 이직률 격차도 2.2%포인트(p)로 2010년 통계 집계 이래 역대 최대치로 벌어졌다.

관련기사



중소기업과 대기업간 이직률 격차는 2010년 0.7%p에서 2012년 1.2%p, 2013∼2014년 1.7%p까지 벌어졌다가 이번에 처음 2%p 이상으로 확대됐다. 정부가 중소기업 일자리 가운데 ‘좋은 일자리’로 분류하는 중소기업 제조업 일자리의 지난해 이직률도 3.3%로, 대기업(1.3%)보다 2%p 높았다. 지난해 중소기업 제조업 이직자 9만7,075명 중 자발적 이직자는 55.5%인 5만3,870명, 비자발적 이직자는 36.5%인 3만5,385명이었다.

이처럼 근로자들이 중소기업들을 떠나는 이유는 대기업과 연봉 격차 이외에도 장시간 노동이나 전문성을 키우기 어려운 환경, 정규직 일자리가 부족한 데 따른 미래 불안 등 노동환경에 대한 전반적인 불만이 크기 때문이다. 정부가 청년들을 중소기업의 빈 일자리 20만개로 유도하기 위해 3∼4년간 한시적으로 1,000만원 가량의 소득을 보전해 대기업과 소득 격차를 줄여주기로 했지만 중소기업 일자리의 질 자체를 끌어올리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많다.

당장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임금 차이는 입사 초기에는 1,000만원이 안 되지만, 20년이상 다니면 4,000만원에 달하는 등 나이나 근속 기간이 늘면서 점점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 중소기업에 다니면 대기업보다 월평균 근로시간이 4시간 이상 길고, 교육훈련을 기대하기 어려운 데다 정규직 일자리 비율도 낮아 안정성이 떨어진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이직은 주로 입사 초기에 많이 발생하는데, 이번 청년일자리대책은 이직률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이직률은 고용 안전망 확충 등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과 병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정부가 청년일자리대책을 시행할 때 실제로 필요한 곳에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며, 임금 보전은 물론 근무환경과 기업문화 개선을 위한 중장기적 처방을 함께 제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종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