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마크로젠, 美 브로드연구소의 유전자가위로 신약개발 속도 낸다

정밀 의학 생명공학 기업인 마크로젠(038290)이 브로드연구소의 유전자가위 기술을 사용해 신약 개발에 나선다. 브로드연구소는 유전자가위 기술로 미국에서 특허를 확보한 곳으로 툴젠, UC버클리대와 함께 이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마크로젠은 지난 22일 미국 브로드연구소의 크리스퍼(CRISPR) 유전자가위 기술에 대한 실시권을 획득해 자사의 유전자 편집 기술 포트폴리오를 한층 강화했다고 28일 밝혔다.


회사는 브로드연구소가 보유한 3세대 유전자가위인 크리스퍼-카스9(CRISPR-Cas9)을 비롯해 총 50여 건의 관련 기술을 확보해 다양한 연구 및 사업 분야에 유전자 편집 기술을 확대 적용할 수 있게 됐다. 특히 회사는 전임상 모델 동물 제작 분야와 항암 표적 치료제 기능 분석, 유전자 치료제 연구개발 등에 기술을 활용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유전자가위란 유전자를 제거하거나 새롭게 새겨넣는 기술을 의미한다. 메사추세츠공과대학(MIT)과 하버드대학교가 공동 설립한 브로드연구소는 이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가장 앞서 있는 연구기관이다. 2015년 1월 네이처에 따르면 크리스퍼 관련 특허 보유가 가장 많은 기관 상위 3곳 중 하나로 손꼽힐 정도다.

서정선 마크로젠 회장은 “마크로젠은 이번 특허 기술 확보로 브로드연구소와 함께 유전자 편집 기술을 한층 발전시켜 나가는 것은 물론 전 세계에 크리스퍼 기술을 확대 공급할 수 있도록 협력해 나갈 것”이라며 “앞으로 유전자 치료제 연구 및 생산 등으로 기술의 활용 분야를 넓혀 나가고 질병치료 및 신약개발, 나아가 정밀의학 실현으로 인류 건강 증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