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청년창업 정책.. '서러운 30대'

정부, 20대 실업률 낮추기 급급

실전 경험 갖춘 30대는 '찬밥'

지원도 4차혁명 분야에만 집중




2년 전까지만 해도 대기업 7년차 직장인 A씨에게 창업은 막연한 꿈이었다. 그러던 중 정부가 새로 들어서고 사무실 제공, 세금 면제 등 청년창업 정책이 쏟아지자 그는 본격적으로 창업 준비를 시작했다.

그러던 그가 최근 돌연 창업의 꿈을 접었다. 30대 중반을 넘었다는 이유로 정부의 청년창업 대상에서 제외돼 애초 계획한 자금으로는 창업이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A씨는 “고작 한 살 차이로 청년이 아니라며 창업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세상에 어디 있냐”고 답답해했다. ★관련기사 4면


실전경험과 네트워킹·자본력 측면에서 20대 청년들보다 창업 성공률이 높은 30대 창업이 눈에 띄게 활력을 잃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의 ‘2017년 신설법인 동향’을 보면 30대 창업법인 수는 2만337개로 지난 2016년보다 2.6% 줄었다. 연령별 전체 신설법인 수(9만8,154개)에서 30대 비중은 20.7%로 6.3%에 머문 20대보다 월등히 높았지만 성장률은 거꾸로였다.

관련기사



이처럼 창업 주력부대가 돼야 할 30대의 위축과 관련해 창업자들과 전문가들은 정부의 창업지원 정책이 20대 위주로 편중돼 있는 현실과 무관치 않다고 지적한다. 대졸 실업률을 낮추기 위해 20대에 창업지원 포커스를 맞추다 보니 30대는 사각지대가 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에 더해 특정 분야에 쏠린 정부의 창업지원 정책도 30대 창업에 부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정부가 4차 산업혁명 분야인 정보기술(IT)·바이오·자율주행차 분야에만 집중하다 보니 청년이 정작 잘할 수 있는 분야는 창업 지원에서 소외된다는 것. 패션 대기업에 근무하다 남성복 업체를 창업한 B 대표는 “패션으로 창업한다고 하니 대부분 투자기관에서 고개를 저었다”며 “막상 청년들이 잘할 수 있는 분야는 생활과 밀착된 음식료·패션·유통 등인데 이들 업종의 창업을 지원하고 고도화하는 것은 정부의 몫 아니냐”고 말했다.

이영민 서울대 벤처경영학과 교수는 “30대 창업의 경우 정부 지원에서 상당 부분 어려움을 겪는 게 사실”이라며 “아웃소싱에 필요한 정보 접근이나 매칭 등은 정부나 공공 파트에서 일정한 역할을 해줘 시행착오를 줄여줄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전창열 청년창업네트워크 프리즘 대표는 “정부의 청년창업 정책이 성과를 내려면 산업과 조직관리 경험을 바탕으로 창업의 본게임에 도전하는 30대 창업률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서민우·서종갑·이재명기자 ingaghi@sedaily.com

서민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