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추적60분’ 천안함 흡착물질, “세번, 네번 반복해 확인한 결과. 충분히 분석했다”

‘추적60분’ 천안함 흡착물질, “세번, 네번 반복해 확인한 결과. 충분히 분석했다”‘추적60분’ 천안함 흡착물질, “세번, 네번 반복해 확인한 결과. 충분히 분석했다”



‘추적60분’ 정기영 교수가 천안함 흡착물질과 관련해 분석한 내용에 대해 충분한 분석을 통한 결과물이라 발표했다.

28일 오후 방송된 KBS2 ‘추적 60분’에서는 천안함 관련 의혹들을 되짚어보는 시간을 그려졌다.


지난 2010년 3월 26일 9시 22분, 인천 서해 백령도 부근에서 천안함 피격사건이 일어났다. 대한민국 해군 초계함이 두 동강나 침몰해버린 초유의 사건이 일어난 후, 천안함의 침몰 원인을 조사할 민군 합동 조사단이 구성됐고, 국방부는 한 달여간의 조사 끝에 천안함이 북한 어뢰에 의한 피격으로 침몰되었다고 공식화했다.

하지만 사망 장병들의 사인과 인양된 천안함의 절단면에 대한 의혹, 발표 직전 극적으로 발견된 어뢰 추진체와 흡착물질을 두고 증거가 조작됐다는 논란까지 제기됐다.


이후 8년이 흐른 지난 2월, 천안함 폭침의 주범으로 알려진 북한 김영철 당시 정찰총국장이 평창 동계올림픽 폐막식에 참석하면서 천안함 미스터리는 다시 수면 위로 부상했다. 정부의 은폐와 조작이 있었다는 주장과 음모론이라는 주장이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관련기사



당시 정부는 천안함 보고서를 발표하며 흡착물질에 대해 비결정성 알루미늄산화물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그러나 이를 조사한 정기영 안동대 교수는 정부의 발표와 달리 ‘비결정성 알루미늄황산염수화물’이라고 밝혔다.

제작진은 8년 만에 다시 정 교수를 찾아 인터뷰를 진행했다. 흡착물질 분석에 대해 정 교수는 “당시 흡착물질이 지대한 관심을 받고 있었고, 중요했던 부분이었다”라고 언급했다.

이어 “세 번, 네 번 확인하고 평소에 안하던 분석도 추가해서 계속적으로 반복해 확인한 결과다. 충분히 분석했다고 생각한다. 추가 분석은 안 해도 된다고 본다”라고 강조했다.

[사진=KBS 방송화면 캡처]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