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평창왔던 北 김영남, 88올림픽 땐 참가국들에 ‘보이콧’ 요청 행보

외교문서 공개…"북한 체육사절단, 동구권 수개국 방문해 올림픽 보이콧 교섭"

북한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 제1부부장(뒷줄 오른쪽)과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뒷줄 왼쪽), 미국 마이크 펜스 부통령(앞)이 지난달 9일 열린 평창동계올림픽 개회식을 지켜보는 모습/연합뉴스북한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 제1부부장(뒷줄 오른쪽)과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뒷줄 왼쪽), 미국 마이크 펜스 부통령(앞)이 지난달 9일 열린 평창동계올림픽 개회식을 지켜보는 모습/연합뉴스



북한 고위급대표단으로 평창 동계올림픽 개회식에 참석했던 김영남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 1988년 서울올림픽 때는 참가국들의 대회 보이콧을 요청하는 외교행보에 나섰던 것으로 드러났다.

외교부가 30일 공개한 1987년 외교문서에 따르면 우간다 주재 한국 대사대리는 1987년 12월 4일 외무부 장관에게 보낸 문서에서 김영남 당시 북한 외교부장이 김일성 특사 자격으로 그해 12월 11일부터 15일까지 우간다를 방문한다고 보고했다. 그러면서 대사대리는 “동 담당관의 말에 의하면 금번 북괴(북한) 외교부장의 주재국(우간다) 방문 목적은 한국 정치문제를 거론하는 한편 특히 88 서울올림픽 보이콧을 주재국에 집요하게 종용하기 위한 것”이라고 전했다.


이후 정보영 당시 주우간다 대사는 1987년 12월 15일 외무부 장관에게 보낸 문서에서 김영남이 예정대로 우간다를 방문해 12월 12일 오전 요웨리 무세베니 대통령을 면담했다고 보고했다. 정 대사는 열흘 후 ‘북괴 외교부장 주재국 방문(보고5)’이라는 당시 문서에서 김영남과 무세베니 대통령과의 면담 내용과 관련, “(김영남이) 서울올림픽 (남북) 공동개최 문제가 IOC 및 한국 측의 비협조로 실현이 어렵게 되었음을 설명하고 올림픽 보이콧을 종용하였다고 하며, 이에 대해 무세베니 대통령은 올림픽 참가 문제는 관계부처 간 협의를 거쳐 다른 아프리카 국가와의 보조를 맞추어 결정하겠다고 말하고, 참가 여부에 대해 직접적인 회답을 회피하였다고 함”이라고 보고했다. 북한은 김일성 집권 시기부터 우간다와 군사협력을 강화하는 등 밀접한 관계를 이어왔으며, 이를 바탕으로 김영남은 서울올림픽을 방해하기 위해 우방인 우간다에 올림픽 보이콧을 부탁한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한편, 1985년 4월 30일부터 3박 4일간 말레이시아를 방문한 전영진 당시 북한 외교부 부부장은 말레이시아 외교차관과의 면담에서 “남한은 반민주 군사독재 체제로서 인권유린, 사회불안 등이 만연돼 올림픽 개최 여건을 갖추고 있지 못하다”고 말했다고 말레이시아 주재 우리 대사관이 보고했다. 당시 보고 문서에 따르면 전영진은 “88 올림픽의 서울 개최는 분단고정화 획책”이라며 “남한은 또한 소련 등 동구권 국가들과 외교관계가 없고, 반공정책을 내걸고 있어 사회주의 국가들은 신변 안전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이에 참가하지 않을 것이며 북한도 참가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같은 해 7월 23일에는 인도를 방문한 김봉주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 겸 조선직업총동맹 중앙위원장이 한 공중집회에서 88올림픽의 남북 공동개최, 호칭변경, 남북단일팀 구성 지지를 요청하는 연설을 했다고 당시 주인도 대사가 장관에 보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1986년 1월 15일에는 당시 체코 대사가 “북한 체육사절단이 약 3개월 전에 체코를 포함해 동구권 수 개국을 방문해 88서울올림픽 보이콧을 교섭하고 다녔으나, 동구권 국가들로부터 냉담한 반응을 받은 것으로 알고 있다”는 발언을 함태혁 당시 튀니지 주재 대사가 보고하기도 했다.
/박신영인턴기자 wtigre@sedaily.com

박신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