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서울경제TV] 남북회담 앞두고 北 인프라 수요에 관심 쏟는 금융권






[앵커]

남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금융권이 북한 인프라 투자에 따른 금융 수요에 기대감을 보이고 있습니다. 남북 관계가 개선되면 1,400조원에 달하는 각종 인프라 사업이 진행될 전망입니다.


앵커리포트입니다.

[기자]

오는 4월 27일 예정된 남북정상회담을 앞두고 금융권이 북한 인프라 시장 개방 여부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북한의 비핵화 등으로 남북 경제협력이 활성화될 경우 북한 인프라 투자에 따른 금융 수요가 크게 일어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앞서 2007년 열린 정상회담에서 남북 경협을 위해 양측이 합의한 각종 인프라 개발건이 남북 관계경색으로 모두 중단된 바 있습니다.

관련기사



해주경제특구 건설, 개성공단을 연계한 개발, 한강하구 개발, 경의선 복원사업, 남·북·러 가스관 건설사업, 북한의 항만 현대화 사업, DMZ 환경·관광 개발 사업 등이 모두 중단된 상태입니다.

이처럼 남북한 경제협력이 대부분 인프라 투자를 동반하는 것이기 때문에 대규모 재원조달과 투자의 위험성 등을 고려할 때 금융권이 필수적으로 참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북한의 산업 인프라 육성에는 1,400억달러가 들 것으로 추정됩니다. 철도 773억달러, 도로 374억달러, 전력 104억달러, 통신 96억달러, 공항 30억달러, 항만 15억 달러 등입니다.

금융권은 이같은 인프라 시장 확대를 환영하는 분위기입니다. 금융사간 경쟁이 치열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다만 정치적 리스크에 따라 사업이 언제 뒤집힐지 알 수 없는 만큼 민간 투자자 모집을 위해서는 그에 따른 보완장치가 충분히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이윤석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경제통일을 위해서는 우리나라 주도의 경협사업 개발 및 금융지원이 필요하다. 금융부문도 기존 인프라 투자 경험을 바탕으로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정부는 민간의 해외 인프라 투자를 직접 지원하기보다 금융회사의 핵심역량 구축 지원 등 협력모델을 제시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양한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