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기업은행 '통일금융준비위' 재가동

금융권 대북사업 밑그림 그리기

기업은행이 수년간 유명무실했던 ‘통일금융준비위원회’를 이달 중순 재가동하는 등 국내 시중은행들이 남북 경제협력 밑그림 그리기에 나섰다는 분석이다. 일부에서는 너무 성급하다는 지적이 나오지만 자칫 넋을 놓고 있다가 개성공단 지점 설치를 포함한 대북 금융 진출 방안이나 도로·철도·항만·환경 등 사회간접자본(SOC) 인프라 구축 시 금융자문 등의 기회를 놓칠 수 있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IBK기업은행은 이달 중순께 ‘통일금융준비위원회’를 구성해 남북·통일금융 추진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지난 2014년과 달리 전무급(수석 부행장)을 주축으로 한 통일금융준비위로 한 단계 격상해 개성공단 지점 설치 등 남북 경협 본격화에 대비한 여러 안을 내놓을 계획이다. 기업은행은 2004년 개성공단관리창설준비위원회에 공단 지점 개설 의향서를 냈지만 탈락했다. 당시 입주 은행으로 선정된 곳은 우리은행이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개성공단이 재가동되면 기업은행이 공단 진출 기업을 지원할 필요성이 클 것”이라며 “개성공단 지점 설치를 포함해 여러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우리은행은 개성공단 재가동을 대비해 개성공단 지점 운영 재개를 위한 준비에 나섰다. 우리은행 개성공단지점은 2004년 12월 개성공단관리위원회 건물에 입주해 영업을 시작했으나 정부의 개성공단 폐쇄 결정으로 철수했다. 현재는 서울 중구 본점 지하 1층에 임시영업소를 마련해 입주기업 사후관리를 해오고 있다.

신한금융은 SOC 등 북한에서 진행될 인프라 사업에 주목하고 있다. 조용병 신한금융 회장은 신한은행장으로 재직할 당시 마련했던 통일 대비 민간 시중은행 관점에서의 전략 방향을 토대로 현재 정부 차원에서 논의 중인 사업을 추가로 반영해 다듬어간다는 구상이다. 국민은행도 초기 단계지만 전략담당 부서에서 철도·항만·도로·통신 등 기반시설 확충을 위한 인프라 금융과 프로젝트 금융 참여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