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이 1,000냥이면 눈은 900냥’이라는 속담이 있다. 눈이 그만큼 중요하다는 뜻이다. 한번 눈이 나빠지면 다시 회복하기 어렵다 보니 어린 시절부터 시력을 관리하는 데 관심이 높다. 전문가들은 부모들이 올바른 정보를 바탕으로 신생아부터 눈 건강에 신경써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먼저 태어날 때는 좋은 시력이었으나 자라면서 눈이 나빠지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신생아의 시력은 0.03으로 낮은 편이다. 신생아는 큰 물체의 윤곽, 빛 정도만 알아볼 수 있다. 출생 후 외부 환경의 변화에 따라 시세포가 발달하고 점차 시력이 좋아진다. 의료계에서는 보통 만 6세, 개인에 따라 만 7~8세가 되면 어른 수준의 시세포가 완성된다고 보고 있다.
박유경 비앤빛 강남밝은세상안과 원장은 “3~4살 정도에 아이의 첫 시력검사를 받아 본 부모들이 아이 시력이 0.4 정도밖에 나오지 않아 선천적으로 눈이 나쁜 것이 아닌지 문의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며 “시력 발달 단계에 있는 자연스러운 과정일 뿐 우려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박 원장은 “이 시기에 시력이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하면 이후 안경을 쓰거나 수술을 해도 시력이 좋아지지 않는 약시가 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
만 6세가 시력 발달의 완성 시점으로 꼽히다 보니 첫 안과 검진은 그 전인 만 3~4세에 받는 게 좋다. 아이 눈에 특별한 증상이 없고 가족력이 없다면 만 3~4세부터 6개월에 한 번씩 정기적으로 시력 검사를 받아야 한다. 시력검사뿐만 아니라 사시, 망막 이상 확인 등 정밀 검진을 통해 안구 질환의 발병 여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부모가 굴절 이상, 백내장 등 안질환을 앓았다면 아이는 더 자주 시력 검진을 받아야 한다. 약시는 3개월, 근시는 6개월, 그외 시력 문제는 3~6개월 주기로 받는 것을 추천한다.
안구 질환이 있다면 어릴 때 발견할수록 치료 효과가 높다. 양쪽 눈의 시력 차가 큰 데 따라 발병하는 소아 약시의 경우 만 4세에 발견했을 때 완치율은 95%에 이른다. 그러나 만 8세에 발견돼 치료하면 완치율이 23%로 급감한다. 10세가 지나면 아예 치료할 수 없다.
이에 전문가들은 평소 부모가 아이의 행동을 주의 깊게 관찰하는 게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말로 의사소통이 가능한 만 3세부터는 정밀 시력검사를 실시해야 한다.
일상생활에서는 실내 조명을 직접 바라보지 않게 하면서 그림자가 생기지 않는 정도의 조명 밝기를 유지하는 것도 눈 건강을 위한 팁이다. 최근 스마트폰으로 유아용 동영상 콘텐츠를 보여주는 부모들이 많은데 하루 2회 총 20~30분 내로 시청을 제한해야 한다. 인공눈물의 경우 2~3세부터 사용해도 괜찮지만 너무 자주 사용하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