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미래 성장동력으로 부상하는 수소 산업, 어떻게 키워야 하나

한국생산성본부, '수소차 산업 활성화 방안' 주제 CEO 북클럽 개최




수소 경제의 비전과 로드맵을 공유하며 산업의 미래상을 조망하는 뜻깊은 자리가 마련됐다.

한국생산성본부는 10일 오전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정만기(사진) 글로벌산업경쟁력포럼 회장(전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을 초청해 ‘수소차산업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CEO 북클럽을 열었다.


정 회장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에너지 중심축으로 수소가 등장할 것”이라면서 “2050년경 수소가 세계 최종 에너지 소비 중 18% 차지하고, 연간 매출 2조 5,000억 달러의 시장으로 성장하면서 관련 일자리만 3,000만개를 창출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수소는 풍부한 에너지원인데다 대규모 저장과 수송이 가능하고 또한 탈탄소화를 실현시키는 주요한 수단이며 특히 안전성, 안보성, 경제성이 높다”면서“일부 수소차의 안정성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 있는데, 수소차의 수소는 수소폭탄을 이루는 수소와는 원자 구조부터 상이하다. 수소차의 수소는 공기 중 최고의 확산성이 특징으로 타 에너지원에 비해 폭발의 가능성이 되려 낮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정 회장은 수소차 산업에 대해서는“전기차에 비해 아직 수소차의 보급대수가 많지 않지만 한국에서만 올 한해 지난 10년보다 많은 수소차가 보급되는 등 수소차 시장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며 “50만 대 이상 생산시 가솔린차 대비 가격경쟁력 확보도 가능할 것”이라고 확신했다.

끝으로 그는 “수소차 산업은 전기차에 비해 전후방 연관 효과가 높은 시스템 산업이며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로 수소차를 개발하는 등 선두에서 산업을 리드하고 있다”며 “수소차 산업이 미래성장동력 중 하나라는 점을 감안해 정부, 업계가 함께 미래를 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