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몰카 남자피해자라 빨리 수사?…'성별 편파수사' 논란 확산

홍대몰카 '편파수사 규탄' 카페 개설…회원수 2만명 넘어

"여성피해 사건은 방관" 주장…관련 국민청원도 30만 돌파

경찰 "성별은 수사와 무관…사안별로 상황 달라 비교 안돼"

홍대 누드 크로키 수업에서 남성 모델을 불법 촬영한 여성 모델이 구속되자 성별 편파수사 주장이 제기됐다./출처=연합뉴스홍대 누드 크로키 수업에서 남성 모델을 불법 촬영한 여성 모델이 구속되자 성별 편파수사 주장이 제기됐다./출처=연합뉴스



홍익대 누드 크로키 수업에서 남성모델을 불법 촬영한 여성모델이 구속되자 ‘성별(性別) 편파수사’ 주장이 제기됐다. 피해자가 남성이라 경찰이 빨리 수사했다는 것이 논란의 주요 골자다. 경찰은 사건 발생 장소와 용의자 선상 인물이 제한됐다는 현 사안의 특성을 간과한 비약이라며 정면 반박에 나섰다.

14일 다음 포털사이트에 따르면 몰카사건 피의자 안모(25·여)씨가 검거된 10일 이후 ‘불법촬영 편파수사 규탄시위’ 카페가 개설됐다. 카페는 개설 나흘 만에 회원 수 2만명을 넘어섰다. 카페 회원들은 몰카 사건 피해자의 98.4%가 여성, 1.2%가 남성인데, 여성 피해자 사건은 방관하고 남성 피해자 사건은 신속하게 처리한다는 주장을 내세웠다.


카페 운영진이 만든 페이스북 계정에는 “이번에는 정말 가만히 있으면 안 된다”며 “여자들이 죽어갈 땐 사소하다, 장난이다, 못 잡는다고 방관하던 국가가 남자 피해자가 발생하자마자 유례없는 강력 수사로 잡아들였다”는 비판의 글도 게재됐다. 홍대 사건과 비슷한 시기에 일어난 항공대 동영상 몰카 사건은 피해자가 여성인 이유로 범인이 아직도 잡히지 않았다는 점을 편파수사 주장의 근거로 들었다.

카페 회원들은 오는 19일 오후 붉은 옷을 입은 여성만의 시위를 열고 수사기관과 정부를 규탄할 계획이다. 장소는 미정이나 시위 개최에 필요한 후원금은 이미 800만 원 이상 모인 것으로 알려졌다. 홍대 몰카 사진이 올라온 인터넷 커뮤니티 ‘워마드’도 시위에 동참하겠다는 글이 생성되고 있다. 워마드는 피해자 남성 모델을 조롱·비하하는 글과 그림이 올라가 논란이 된 사이트다.


하지만 홍대 몰카 사건을 수사한 서울 마포경찰서 관계자는 피해자·피의자 성별은 수사 속도와 무관하다고 지적했다. 경찰 관계자는 “사안 별로 상황이 모두 다르므로 일률적으로 어떤 사건을 빠르고 다른 사건은 느리다고 직접 비교가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홍대 몰카 피의자 안씨의 모습이 공개된 것도 비판 대상이었다. 몰카 사건의 남성 피의자들이 언론 포토라인에 서서 국민적 지탄을 받은 적이 없는데 왜 여성이라는 이유로 그래야 하냐는 논리다.

홍대 몰카 사건은 청와대 국민청원 사이트도 뜨겁게 달궜다. 지난 11일 청와대 국민청원 사이트에는 ‘여성도 대한민국 국민입니다. 성별 관계없는 국가의 보호를 요청합니다’라는 제목의 청원이 올라왔고, 이날 오전 9시 40분 기준 30만1,719명이 참여했다. 이 청원은 ‘한 달 내 20만 명 이상 참여’라는 청와대의 공식 답변 요건을 채워 청와대가 답변을 내놔야 한다.

청원 작성자는 홍대 사건을 두고 “피해자가 여성일 때는 어땟을까”라며 상습 몰카 남성 피의자들이 집행유예 등의 선고를 받은 기사 링크를 걸어놓았다. 청원자는 “피해자가 여성이라 아무렇지 않게 넘어가고 피해자가 남성이라 재빠른 수사를 하는 것은 옳지 못하다”면서 “누구나 범죄를 저지르면 벌을 받고 누구나 피해자가 됐다면 국가의 보호를 받는 대한민국을 바란다”고 호소했다.

/이서영인턴기자 shyung@sedaily.com

이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